자녀양육역할의 6개 영역과 관련하여 정신장애인 자녀를 돌보는 아버지의 돌봄경험에 대한 연구 (A Study on Paternal Caregiving Experience in 6 Domains of Caregiving Role among Fathers of Offspring with Mental Disorder: Using Sample of U.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본 연구에서는 정신장애인 자녀를 돌보고 있는 아버지가 양육역할에 참여하고 있는 경험에 대해 탐색하고, 역할 참여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가족관계 관련 특성 및 개인적 특성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자녀양육의 여섯 가지 영역(① 자녀양육과 보호에 대한 참여, ② 경제적 지원제공, ③ 정서적 지원제공, ④ 양육의 책임 이행, ⑤ 자녀의 치료와 보호에 대한 의사결정에 관여, ⑥ 자녀와 함께 시간보내기)에 대해 참여하고 있는 아버지와 그렇지 않은 아버지를 나누어, 양육역할 참여여부에 있어 아버지의 가족관계 관련 특성과 개인적 특성이 미치는 영향에 대한 로지스틱 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를 활용하여 자녀양육의 6개 영역별로 아버지의 참여를 증진시키기 위한 사회복지 서비스와 프로그램에 대한 제언을 하였으며, 그 예로서 자녀양육역할의 이해, 자녀의 정신장애에 대한 감정표현, 자신이 활용할 수 있는 주변의 자원 찾기, 아버지 역할에 대한 고정관념과 편견 검토하기, 자녀와 함께할 수 있는 활동 계획하기 등이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is aimed at exploring paternal caregiving experience of fathers of offspring with mental disorder and analyzing fathers' family relationship-related factors and individual factors that could be positively related to fathers' participation in caregiving. Paternal involvement in 6 domains of caregiving role (① involvement in providing care, ② providing financial support, ③ providing emotional support, ④ care responsibilities, ⑤ influence in decision making, ⑥ availability) are examined. The effects of fathers' family relationship- related factors and individual factors on paternal involvement in 6 domains of caregiving roles are also analyzed using logistic analysis. Based on the result, this study identified key factors that are important for increasing fathers' level of participation in 6 domains of caregiving role and provided suggestions for clinical social work services and programs to support fathers who are caring for their offspring with mental disorder.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