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루베리와 복숭아에서 전정가지 수분함량이 갈색날개매미충 알 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oisture Content of Pruned Blueberry and Peach Twigs on Hatchability of Ricania shantungensis (Hemiptera: Ricaniidae) Egg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12월부터 3월까지 갈색날개매미충 알이 붙어 있는 블루베리나무와 복숭아나무의 가지를 전정한 후 가지의 마름정도와 갈색날개매미충 알의 부화율을 조사하였다. 갈색날개매미충 알의 부화율은 블루베리와 복숭아 모두 1% 미만으로 정상적인 가지(52.8~68.4%)에 비해 부화율이 매우 낮은 수준이었다. 부화시기에 전정가지의 함수율은 블루베리와 복숭아 각각 9.8~20.9%, 7.5~13.8%로 매우 낮았다. 즉 갈색날개매미충의 알이 붙어 있는 가지를 전정할 경우 가지가 심하게 마르기 때문에 가지 속의 알도 건조해져서 정상적으로 부화하지 못하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어초록
Hatchability of eggs and rate of weight reduction in pruned twigs with egg-mass of R. shantungensis were investigated in blueberry and peach orchards from December to March. Hatchability of R. shantungensis eggs were 52.8~68.4% on normal twigs in the field. However, the rate of hatchability dropped to less than 1% after pruning. Moisture content of twigs after pruning blueberry and peach were 9.8~20.9% and 7.5~13.8%, respectively. This result revealed that the hatchability of R. shantungensis eggs might be very low or nil, because the eggs dried up after pruning of the twigs with egg-masses of R. shantungensis.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