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건강신념모델을 이용한 소셜네트워크서비스에서의 개인정보보호행위에 관한 연구 (Study on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Behavior in Social Network Service Using Health Belief Model)

1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4 최종저작일 2016.12
19P 미리보기
건강신념모델을 이용한 소셜네트워크서비스에서의 개인정보보호행위에 관한 연구
  •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정보보호학회
    · 수록지 정보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26권 / 6호 / 1619 ~ 1637페이지
    · 저자명 : 신세미, 김성준, 권두순

    초록

    스마트폰의 보급과 모바일 네트워크 발달로 인해 소셜네트워크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SNS)는 급격한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서로의 관심 분야를 공유함으로써 새로운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고 소통의 장을 확대할 수 있다는 장점과 휴대의 용이성의 특징을 가진 스마트폰 보급과 맞물려 급격히 성장하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 이용자들의 SNS영향요인들에 대해 파악하고 이들 요인이 자기효능감과 프라이버시 보호를 통해 개인정보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인과관계를 실증 연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헬스커뮤니케이션 분야에서개인의 질병을 인지하고 예방할 수 있는 행동을 예측하는 건강신념모델(HBM : Health Belief Model) 이론의 주요변수들을 적용한 연구모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모형을 실증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SNS를 이용한 경험이 있는 충남 소재의 N대학과 지방소재 K대학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총 186부의 표본을 수집하였으며, 요인들 간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경로분석결과, 첫째, SNS상에서의 개인정보보호 행위의 주요 영향요인인건강신념 모델의 모든 변인들 중 지각된 개연성, 지각된 심각성, 지각된 장애는 자기효능감과 부적인 관계를 보였고, 지각된 개연성, 지각된 이익, 지각된 장애는 프라이버시보호에 부적인 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지각된 심각성은 프라이버시보호와 정적인 관계를 보였고, 지각된 이익과 자기효능감 역시 정적인 관계를 보였다. 둘째, 매개변수인 자기효능감은 프라이버시보호와 정적인 관계를 보였지만 개인정보보호행위와는 부적인 관계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프라이버시보호는 개인정보보호행위와 정적인 관계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기존의 개인정보 위협 기술을 활용한 개인정보보호 연구와는 달리 예방에 대한 특성을 반영한 이론적 모델을 제시함으로써 향후 SNS상에서의 개인정보보호행위를 예측할 수 있는 설명을 제시할 수 있는 이론적·실무적 기반이 될 것이다.

    영어초록

    With wide distribution of smart phones and development of mobile network, social network service (SNS) is displaying remarkable growth rates. Users build new social relations by sharing their interests, which brings surging growth to the SNS based on the combination between the strength of expanding the place for communication and distribution of smart phones featured with easy portability. This study is designed to understand impact factors of SNS on users in Korea and to conduct empirical research on casual relationship between the factors above and the factors affecting personal information behavior through the privacy protection and self-efficacy. In order to accomplish the objective above, the study presented a research model applied with key variables of the Health Belief Model (HBM) predicting behaviors capable of recognizing and preventing individual diseases in the field of health communication.
    To perform empirical verification on the research model of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upon college students at N university located in Chungcheongnam-do and K university in rural area, who have experiences using the SNS. Through this survey, a total of 186 samples were collected, and path analysis was performed in order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ctors. Based on the findings from the survey, first, variables Perceived probability, Perceived severity, Perceived impairment of the HBM, key factors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behavior on the SNS, were found to exhibit negative relationship with self-efficacy, and Perceived probability, Perceived benefit, Perceived impairment were found to exhibit negative relationship with privacy protection. But the above, Perceived severity showed positive relationship with privacy protection, and Perceived benefit and self-efficacy also displayed positive relationship. Second, although self-efficacy, a parameter, showed positive relationship with privacy protection, it demonstrated negative relationship with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behavior. Lastly, privacy protection exhibited positive relationship with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behavior. By presenting theoretical model reflected with characteristics of prevention based on these findings above unlike previous studies on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using technologies threatening personal information, this study is to provide theoretical and operational foundation capable of offering explanations how to predict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behavior on the SNS in the fu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4월 20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2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