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치분권 촉진 및 지원에 관한 조례」 현황 연구-전국 17개 시도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tatus of Ordinances on Promotion and Support of Autonomous Decentralization -Centering on 17 Cities and Provinces Across the Country-)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연구 목적: 본 연구는 「지방자치분권 및 지방행정체제개편에 관한 특별법」(약칭: 지방분권법) 바탕으로 제정된 「자치분권 촉진 및 지원에 관한 조례」에 대해 전국 17개 시도의 조례 제정 현황에 대해 살펴보고 지역별 차이를 제시함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 방법: 기존 발표된 문헌 조사를 바탕으로 각 지역에 제정된 조례를 비교하였다.
연구 내용: 본 조례의 목적, 정의, 책무, 협의회 등에서는 전 지역에서 모두 규정되어 있었으나 실무위원회 구성, 지원센터 설치 유무 등 추진체제의 운영 규정에 따라 지역별로 조문 수의 차이가 있었다.
결론 및 제언: 전국이 획일적인 조례 제정으로 각 지역의 특색을 잘 반영하지 못함에 아쉬움이 있으며, 향후 조례를 제・개정하려는 지방자치단체 관계자들에게 조금이나마 이바지할 수 있음에 그 의의를 둘 수 있으며, 추후 후속 연구를 통해 조례 운영 사항이나 분권 촉진 모형 등을 제시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ordinances in 17 cities and provinces nationwide and to present regional differences in the Ordinance on Promotion and Support of Autonomous Decentralization enacted based on the Special Act on Decentralization and Reform of Local Administrative System (abbreviation: Decentralization Act). As for the research method, the ordinances enacted in each region were compared based on the previously published literature survey. The purpose, definition, responsibility, and council of this Ordinance were all stipulated in all regions, bu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number of provisions by region depending on the operation regulations of the promotion system, such as the formation of working committees and the establishment of support centers. It is regrettable that the nation does not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each region well due to the enactment of uniform ordinances, and it can contribute a little to local government officials who want to enact and revise ordinances in the future.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