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두 개의 조선, 혁명과 전쟁 사이 - 남궁만 <홍경래>(1947)의 전후 (The Two Joseons(朝鮮), Between the Revolution and the War -Before and after Nam Gungman's (1947))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4 최종저작일 2014.09
31P 미리보기
두 개의 조선, 혁명과 전쟁 사이 - 남궁만 &lt;홍경래&gt;(1947)의 전후
  •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극예술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극예술연구 / 45호 / 131 ~ 161페이지
    · 저자명 : 양근애

    초록

    해방기 희곡 <홍경래>는 남궁만이 쓴 유일한 역사극으로 해방 이후의 역사적 전망을 과거인물의 혁명성을 통해 그려내고 있는 작품이다. 본고는 ‘홍경래’라는 인물과 ‘홍경래의 난’이라는 사건이 근대 이후에 재발견/재해석 되었다는 점에 주목하여 특정한 시대적 맥락에 따른 역사적 인물 및 사건의 소환 문제에 대해 고찰하였다. 그 결과 ‘홍경래’는 주로 홍경래 난의 근거지이기도 한 평안도와 서북지역 출신 작가들에 의해 재현되었으며 남궁만 역시 평안도 출신으로 해방기에 ‘홍경래’를 특정한 의도를 가지고 창작했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남궁만의 <홍경래>는 아직 북한의 체제가 공고화되기 이전 시점에 재현된 역사극으로 1931년 동아일보에 연재된 현상윤의 『홍경래전』을 참고로 하는 등 역사적 사건의 고증에 힘쓴 흔적이 드러난다. 해방기 역사극은 일제 강점기와는 달리 항쟁과 투쟁의 역사를 다루고 있으며 ‘홍경래’가 지닌 혁명가적인 면모 역시 해방기 좌익 계열 연극인들의 욕망을 투사할 수 있는 중요한 대상으로 부각된다. 남궁만의 <홍경래>는 이순신과 같은 영웅적 인물이 아니라 실패한 혁명가라는 점에서 또 다른 낭만적 이상이 발견되며 이는 1947년 이후 본격화된 북한문화의 ‘고상한 리얼리즘’의 전신을 보여주는 것으로 보인다. 특히 6.25 전쟁이후 홍경래에 대한 재현이 민중혁명을 위한 영웅성의 과도한 노출로 기울어지면서 역사적 사실에 대한 참조보다 상상적인 허구성이 두드러진다는 점에서 희곡 <홍경래>에는 역사를 해석하는 객관적인 시선과 그를 통한 새국가 건설의 이상을 담지하고 있는 작품이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Hong Kyongnae>, a historical drama written by Nam Gungman, describes the historical prospect after the independence from Japan through a revolution of some past figures. This paper examines recall matters of historical figures and events according to a specific historical context by focusing on the fact that 'Hong Kyongnae', a figure and 'The Hong Kyongnae Rebellion of 1812', an event were rediscovered/reinterpreted after the modern times. It is noted that 'Hong Kyongnae' was often represented by writers from Pyeongan-do or the north-western districts which were also bases of the Rebellion. Nam Gungman, who was also born in Pyeongan-do, created <Hong Kyongnae> with a specific intention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Nam Gungman's <Hong Kyongnae>, a historical drama written before the system of North Korea was not yet established, exhibits some evidences that he strived to investigate historical events by referencing to 『Hong Kyongnae Jeon』of Hyeon Sangyun, which was published serially in Dong-A Ilbo in 1931. Different from the historical drama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ose during the Liberalization period engaged the history of struggle and resistance, and thus, the revolutionary face of 'Hong Kyongnae' also emerged as an important object on which desires of men of the theater belonging to the left wing line could be projected. Given that the 'Hong Kyongnae' of Nam Gungman was not a heroic figure like Yi Sun-sin, but a failed revolutionist, an another ideal was discovered and it might be a precursor of the 'noble realism' of North Korean culture realized after 1947. <Hong Kyongnae> may be regarded as a drama includes the objective view interpreting the history and the ideal of building a new nation because many representations of Hong Kyongnae after the Korean War highlighted an imaginative fiction rather than a reference to historical facts, and was inclined to excessively exposure to heroism for popular revolu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4월 22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