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전통 노리개에 사용된 보석의 현대적 변용 연구 (Case study on modern transformation of gemstone used in traditional Norigae)

1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4 최종저작일 2013.12
13P 미리보기
전통 노리개에 사용된 보석의 현대적 변용 연구
  •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귀금속보석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귀금속보석학회지 / 7권 / 4호 / 206 ~ 218페이지
    · 저자명 : 이지윤, 정양희

    초록

    인류의 역사와 함께 성장해온 장신구는 단순히 몸을 아름답게 치장하기 위해서 뿐 아니라 자신의 사회적 지위와 신분을 나타내기 위해서 또는 간절한 염원이나 신앙을 담은 도구로 사용되었다. 그렇기 때문에 장신구에는 그 민족의 미의식과 생활관, 문화, 사회성이 내재되어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선사시대, 삼국시대를 지나면서 우리 선조들은 화려하면서도 다양한 종류의 장신구들을 제작ㆍ착용하였다. 특히 조선시대에는 노리개, 떨잠, 비녀 등의 장신구가 발전하였고 금ㆍ은 등의 금속류와 함께 옥, 산호, 호박 등의 보패류를 사용하여 장신구를 제작하였다. 궁중 왕실에서부터 평민에게까지 전 계층의 여인네들이 즐겨 착용했던 전통 장신구는 외국의 복식ㆍ장식문화의 유입과 함께 큰 변화를 겪게 된다. 즉, 일상에서 늘 착용하던 장신구에서 박물관 전시물, TV사극 속 소품 그리고 장인들의 재연품으로 그 의미가 바뀌게 되었다. 또한 맹목적인 서구형 장신구의 제작과 사용은 우리 고유의 독창성이 담긴 전통 장신구의 발전을 저해하는 요소가 되고 있다. 현대 장신구의 특징은 독특한 재료와 제작기법을 사용하여 제작자와 착용자간의 소통과 착용자의 개성과 미적 감각을 보여주는 수단으로 인식되어 하나의 예술분야로 자리잡고 있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전통 장신구 중 노리개를 응용하여 개성과 감성을 중시하는 현대적 장신구로의 변용 가능성과 활용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노리개는 여성의 가슴을 장식한다는 점에서 현대 여성들이 즐겨 착용하는 브로치, 목걸이와 그 용도가 유사하여 현대적 변용의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간주된다. 또한 노리개에 사용된 보석을 살펴봄으로써 그 속에 담긴 의미와 조형성을 현대 장신구에 접목시켜 장신구 제작 시 보석선택의 폭을 넓힐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한다.

    영어초록

    Jewelry which has developed with human history is used not only to adorn oneself but also to expose one’s social position and status or to express one’s ardent passion for religious prayer and wish.
    Therefore, jewelry surely has the intrinsic value for the sense of art, outlook on life, culture and sociality of a certain nation. Our ancestors had produced and worn various kinds of ornament with gorgeous and brilliant designs throughout the prehistoric age and the period of the Three Kingdoms. Especially on Joseon Dynasty Era, ornament like Norigae, DdeolJam, Binyu had developed and together with metal materials like gold and silver, gemstones like jade, coral, and amber were used to make different jewelry. Traditional jewelry enjoyed by women from royal to common people had undergone a great change through an inflow of foreign fashion and accessory culture. This means traditional jewelry turned into props of a historical drama, exhibits of museums, and recurrences of craftsmen from everyday personal ornaments. Moreover, reckless usage and production of western jewelry are considered as obstructions which hinder development of Korean native jewelry. One special characteristic of contemporary jewelry is that it is considered as a field of art by displaying the personality and an esthetic sense of the person. And using special materials and production technique, producers and users communicate, as well. The study would like to present the possibility and application of modernization of Norigae, one of traditional ornament. Furthermore, through observation of gemstones used in Norigae, the study would like to graft the inner meaning and specialty to contemporary jewelry which would provide wider choices of gemstones in jewelry produc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4월 28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2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