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불교의 인간관이 갖는 교육적 함의와 교육방안: 고전소설 「소대성전」과의 결합을 중심으로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and Educational Plans of Buddhism's View of Humanity: Centered on the Combination of the Classical Novel “Sodaeseongjeon”)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3 최종저작일 2023.11
25P 미리보기
불교의 인간관이 갖는 교육적 함의와 교육방안: 고전소설 「소대성전」과의 결합을 중심으로
  •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교육사상학회
    · 수록지 정보 : 교육사상연구 / 37권 / 4호 / 141 ~ 165페이지
    · 저자명 : 정보배

    초록

    본 연구는 불교의 인간관이 오늘날 가질 수 있는 교육적 함의를 고찰하고, 이를 고전소설과 결합하여 교육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해보고자 한다. 현재 불교는 학교 교육에서 윤리 교과 내의 동양윤리사상 중 하나로만 소개되고 교육되고 있다. 불교는 삼국시대에 전래된 후 오래도록 우리나라의 기층 종교로 존재하면서 인간과 세계, 삶에 대한 깊은 이해를 돕는 교육적 작용을 수행해 왔다. 그러나 불교와 문화, 특히 문학 작품과의 교섭 양상이 깊었던 그간 문화적 상황을 참고할 때 불교사상은 고전소설과 결합하여 입체적으로 교육될 가능성이 높다. 이에 본고는 그 한 방안으로 고전소설 「소대성전」과의 결합을 통한 불교적 인간관 교육을 제안한다.
    「소대성전」은 지금껏 영웅·군담소설의 대표작 중 하나로 알려져 있으며, 작품의 일부 혹은 보조 인물의 불교적 관련성은 제기되어 왔으나 주인공과 불교의 관련성은 제기되지 않았다. 그러나 「소대성전」 주인공 소대성의 인물 형상화와 일생에 불교의 이상적 인간형인 ‘보살’의 면모가 투영되어 있고, 소대성의 일생과 여러 사건 간 인과관계 역시 불교적으로 해석할 여지가 높다. 불교적 인간관의 관점에서 소대성은 탐진치(貪瞋痴)를 극복하고, 상에 집착하지 않으며 무주상보시(無主相報施)를 실천하는 불교의 이상적 인간상 보살의 모습과 유사하다. 따라서 이 작품을 활용하여 불교의 인간관에 담긴 교육적 가치를 전달하기 위해 문학교육, 윤리교육에서의 구체적 교육방안을 마련하여 제안하였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Buddhism's view of personality in the contemporary context and proposes educational methods in connection with classical novels. Considering the prevailing Korean cultural context, whereby negotiations between Buddhism and literary works have been active since the past (and to the present), Buddhist ideology is highly likely to be taught in connection with classical Korean novels.
    “Sodaeseongjeon” is known as one of the representative works of hero and military novels published in the late Joseon Dynasty,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tagonist and Buddhism not having been raised prior to this study. However, the aspect of ‘Bodhisattva’ — the ideal human image of Buddhism — is projected into the life of Sodaeseong, the protagonist of 'Sodaeseongjeon,' and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Sodaeseong's life and various events is likely to be interpreted from a Buddhist point of view. The protagonist overcomes greed, anger, and foolishness and unconditionally gives donations and considerations to others. This is similar to the image of a Bodhisattva, the ideal personification of Buddhism. Therefore, in order to convey the educational value contained in the human view of Buddhism using this work, a specific educational plan using literary and ethics education was prepared and proposed.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이 자료를 통해 새로운 지식과 통찰을 얻을 수 있었고, 과제를 를 보완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매우 만족스러웠습니다. 추천할 만한 자료입니다.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4월 05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3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