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봉사활동 경험의 교육적 의미를 이해하기 위하여 우선 관련 이론들을 고찰하고, 실제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봉사활동 프로그램의 사례연구를 통하여 봉사활동의 교육적 관련성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이론적 측면으로 기존 연구에서 고려하지 못한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이 봉사활동 참여를 통해 어떠한 경험을 하는지 실증적 자료를 통하여 명확히 분석하고 파악함으로써 후속연구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데에 의의를 갖는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이 유아교육기관의 만 4, 5세 유아반에서의 봉사활동 경험이 가지는 교육적 의미에 대한 탐구로 아동이 참여하는 봉사활동 전 과정을 살펴보고, 그 안에서 아동이 어떠한 경험을 하고, 어떠한 상호작용을 하며, 이러한 봉사활동 경험가운데 아동 개인의 역할인식이 어떻게 변화되는지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한 연구방법으로 문헌연구, 참여관찰, 심층면담 등을 병행한 질적 연구방법론을 적용하였다. 자조능력이 떨어지는 1학년 아동이 자신보다 더 어린 유아의 놀이 활동 대상자로 봉사한다는 것이 가능할까라는 통념과는 다르게 본 연구 결과에서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은 봉사활동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과정에서 수혜자간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봉사자로서의 역할을 인식하게 되었고, 이러한 변화 과정에서 5가지 사회적 상호작용 특성이 나타났다.
영어초록
This study reviewed relative theories to understand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service activities and conducted a case study on a service activity program to explore its educational value. Study results have implications for further research by clearl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children's social interaction through grade one elementary students in Korea participating in service activities, which has not been studied previously. The principal research question of this study is: What are the experiences of grade on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service activitie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es?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