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대학교에서 상대평가로 성적을 부여하는 강의의 강의평가 자료를 대상으로 강좌특성이 강좌별 강좌평가점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강좌별 강좌평가점수는 강좌 수강생의 평균학년과 남학생비율이 높을수록, 수강인원이 적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평가자의 학년과 성별의 효과를 통제할 수 있는 평가모형을 제안하고 제안한 사례를 통하여 평가모형의 수행능력을 고찰하였다.
영어초록
Based on the student evaluation of teaching from ’A’ university where students are graded by relative performance, we conducted a research on the effect of course characteristics in student evaluation of teaching. The results show that the score of student evaluation of teaching seems to be higher for those classes with more proportion of male students, higher grades, and smaller class sizes. From these results, we suggest an evaluation model which can control the effect of grade and sex. Also we illustrate the performance of the evaluation model by using a case study.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