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상임신과 자궁 내 태아 발육장애군에서의 혈장 내 지단백 값의 비교 (Comparison of plasma lipid and lipoprotein concentrations in normal and intrauterine growth restriction pregnancie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목적: 태아성장장애 시 비정상적인 지방대사 이상이 비정상적인 태아성장의 원인일 가능성의 가설 설정 하에, 임신 삼삼분기 에서의 정상적인 임신과 자궁 내 태아발육장애 시의 lipid와 lipoprotein의 값을 측정, 비교분석하여 자궁 내 태아발육장애의 병태 생리에 어떤 역할을 하는가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자궁 내 태아발육장애 시의 병태 생리학적인 원인으로서의 lipid 대사를 규명하기 위하여 2002년 3월 1일부터 2005년 2월 20일까지 계명대학교 의과대학 산부인과교실에 제왕절개 및 유도분만을 위해 내원한 임신부 중에서 42명의 자궁 내 태아발육부전의 임신부와 정상 임신부 45명을 대상으로 검사를 시행하였다. 혈액채취는 수술 혹은 유도분만 전 약 8시간 이상의 공복 후 정맥혈을 채취하였으며, 채취한 혈액으로부터 혈장을 분리하여 실온에서 약 1시간 정도 응고 후 검사를 시행하였다.
결과: Total cholesterol의 값은 정상 임신부군 (대조군)에서 6.74±1.14 mmol/L로서 자궁 내 태아 장 장애군 (대상군)의 4.23±1.03 mmol/L에 비하여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P<0.01). Triglyceride의 값은 대조군에서는 2.42±0.73 mmol/L로서 대상군의 2.10± 0.95 mmol/L에 비하여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P<0.05). 유리지방산 (free fatty acid)값은 대조군에서는 0.5±0.01 mmol/L로서 대상군의 0.8±0.21 mmol/L에 비하여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P<0.05). 저밀도 지단백 (LDL)의 값은 대조군에서는 4.23±1.07 mmol/L로서 대상군의 3.41±0.83 mmol/L에 비하여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P<0.01). 고밀도 지단백, Apo protein의 값은 대조군과 대상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대상군과 대조군의 지단백 구성에 대한 각각의 비에서는 ApoB/ApoA의 구성비는 대상군에서 0.86±0.42으로서 대조군의 0.77±0.47에 비하여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P<0.01). HDL/ApoA의 구성비는 대상군에서 0.87±0.1으로서 대조군의 0.72±0.05에 비하여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P<0.05).
결론: 지단백의 측정에서 total cholesterol의 값, triglyceride의 값, 저밀도 지단백 (LDL)의 값의 감소, 유리지방산 (free fatty acid)값의 증가 소견이 자궁 내 태아발육장애의 발병을 예견하는 한 지표로서 이용 가능성과 정상임신과 자궁 내 태아발육장애를 판별하는 지표로서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자궁 내 태아발육장애 시 나타나는 증가되는 지질 peroxidation 대사에 대한 비교 연구와 혈장 혹은 혈청의 지질대사, free radicals과 내피세포와의 상관 계에 대한 연구가 병행 시 자궁 내 태아 발육장애의 병태 생리학적 기전의 규명과 예방에 도움을 줄 것으로 사료된다.
영어초록
Objective: The effects of fetal growth of lipid metabolism in pregnancy are not well understood at presen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perform a cross sectional study of lipid and lipidprotein concentrations in the 3rd trimester, from normal pregnancies and those complicated by intrauterine growth restriction pregnancies (IUGR) without preeclampsia.
Methods: Fasting blood samples for lipid and lipidprotein fractions were taken 3rd trimester. from fourty two women with IUGR; fourty five women with uncomplicated pregnancies matched as a group for age, parity, gestational age and fetal body weight.
Results: Total cholesterol (6.74±1.14 mmol/L vs 4.23±1.03 mmol/L, P<0.01), triglyceride 2.10±0.95 mmol/L vs 2.42±0.73 mmol/L. P<0.05) and LDL (3.41±0.83 mmol/L vs 4.23±1.07 mmol/L, P<0.01) concentration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IUGR group than in normal group. Free fatty acid (0.8±0.21 mmol/L vs 0.5±0.01 mmol/L, P<0.01) concentration, ApoB/ApoA ratio (0.86 ±0.42 vs 0.77±0.47, P<0.01). HDL/ApoA (0.87±0.1 vs 0.72±0.05, P<0.05) ratio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IUGR group than in normal group. There were no difference in other lipid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LDL levels, which normally increase in uncomplicated pregnancies, fail to rise appropriately in pregnancies complicated by IUGR and may play a role in the pathogenesis of fetal growth restriction. Change in ApoA and increased ApoB/ApoA ratio may be used in identifying mothers with, or at risk of, a pregnancy complicated by IUGR.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