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앉은 자세뿐만 아니라 누운 자세에서도 안압측정이 가능한 리바운드안압계가 임상에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리바운드안압계로수직과 수평자세에서 안압을 측정할 때 각 반복 측정치의 신뢰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전안부 병변과 수술 과거력이 없으며, 개방각인 30명(60안)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리바운드안압계(IcarePRO; IcareFinland Oy, 핀란드)를 이용하여 수직과 수평자세에서 연속적으로 안압을 측정하였다. 매 안압측정 시 6회 측정한 값의 평균값이 기록되는데, 이렇게 6회 측정한 안압의 편차가 정상범위인 값을 3회 얻을 때까지 반복하여 측정하였다. 각 자세에서 단일검사자가 측정한안압의 신뢰도를 비교하기 위해서 급내상관계수, 변동계수, 3회의 정상범위 편차를 갖는 안압측정값을 얻기 위한 반복측정횟수를 계산하였다.
결과: 안압측정치의 급내상관계수는 수직자세에서 0.852 (95% 신뢰구간, 0.784-0.903; p<0.001)였고 수평자세에서 0.684 (95% 신뢰구간, 0.563-0.784; p<0.001)였다. 수직 및 수평자세에서 안압측정치의 변동계수는 각각 8.7 ± 0.1%와 24.0 ± 0.1%였다. 정상범위 편차를 갖는 안압측정치를 3회 얻기 위하여 수직자세에서는 평균 3.2회의 반복측정이 필요하였으며, 수평에서는 평균 6.2회의 측정이 필요하였다.
결론: IcarePRO리바운드안압계를 이용하여 안압측정 시 수직과 수평자세에서 측정값의 신뢰도에 차이가 있었으며, 수평자세에서 안압측정치의 재현성이 수직자세에서의 측정치보다 나빴다.
영어초록
Purpose: Rebound tonometer has been used to measure the intraocular pressure (IOP) in the supine as well as normal uprightpositions. We investigated the reliability of IOP measurements using the rebound tonometer in the upright and supine positions.
Methods: IOP was measured in 30 patients (60 eyes) with open-angle glaucoma who had no history of ocular surgery and no anteriorsegment pathology, in both the upright and supine positions using rebound tonometer (IcarePRO; Icare Finland Oy,Finland). The average IOP value after 6 measurements was recorded. We measured IOP repeatedly until 3 reliable values withinnormal limits of the measurement’s variation were obtained. We calculated the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 (ICC), coefficientof variation, and number of repeated measurements necessary to obtain 3 reliable IOP values in each position as measured byone examiner.
Results: ICC values for IOP measurements were 0.852 (95% confidence interval [CI], 0.784-0.903; p < 0.001) in the upright positionand 0.684 (95% CI, 0.563-0.784; p < 0.027) in the supine position. Coefficient of variation was 8.7 ± 0.1% in the upright positionand 24.0 ± 0.1% in the supine position. An average of 3.3 times of repeated measurements in the upright position and 6.2times in the supine position were necessary to obtain 3 reliable IOP values within the normal range of standard deviation.
Conclusions: When measuring IOP using the IcarePRO rebound tonometer, the measurement reliability was different betweenthe upright and supine positions. Reproducibility of IOP measurements was lower in the upright than the supine position.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