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생아중환자실 간호사가 인식한 간호업무의 중요도와 수행 자신감 (Analysis of the importance of nursing care and performance confidence perceived by nurses in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본 연구는 국내 7개 상급/종합병원의 신생아중환자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76문항의 신생아중환자실 간호 업무에 대한 중요도와 수행 자신감을 조사하여 IPA matrix 분석을 시도하였다. 본 연구 결과 간호사의 연령과 근무 기간이 길수록 간호 업무의 중요도와 수행 자신감이 높았으며, 신생아중환자실 환아의 전반적인 상태를 확인하는 간호 사정, 처방된 처치를 수행하는 간호 중재 그리고 수행한 간호에 대해 평가하는 3가지 업무영역은 중요도와 수행 자신감 모두에서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반면에 간호업무 중 교육과 연구는 상대적으로 덜 중요하게 인식하고 수행 자신감도 낮았다. 신생아중환자실 간호사는 가족중심간호와 근거기반간호를 제공하기 위해 교육과 연구 영역에서 중요도 인식을 향상시키고, 관련 교육 프로그램을 제고하여 수행 자신감을 향상시키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신생아중환자실 간호사들을 위한 간호업무 역량 향상 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근거로 활용될 수 있으며 향후 근무 병원의 규모별, 경력별, 영역별로 세분화하여 반복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영어초록
Purpose: Neonatal nurses are expected to have clinical competency to provide qualified and safe care for high-risk infants. An educational intervention to enhance nurses’ clinical competence is often a priority in the nursing fiel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nurses’ perceived importance and performance confidence of nursing care activities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s. Methods: One hundred forty-one neonatal nurses from seven hospitals across South Korea participated in the online survey study. The scale of neonatal nursing care activity consisted of 8 subdomains including professional practice (assessment, diagnosis, planning, intervention, evaluation, education, research, and leadership). The Importance-Performance Matrix was used to analyze the importance of and confident performance in each of the nursing subdomains. Results: Both importance and performance confidence increased as nurses’ age (p=.042 and p<.001) and clinical experience (p=.004 and p<.001). Participants scored relatively higher in importance and performance confidence in the professional practice subdomains (assessment, intervention, evaluation), but scored lower in the education and research subdomains. Conclusion: To provide evidence-based nursing care for high-risk infants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s, educational interventions should be developed to support nurses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research.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