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행기관 : 한국임상심리학회
· 수록지 정보 :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 28권 / 4호 / 1135 ~ 1154페이지
· 저자명 : 조용래, 채숙희, 최연숙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우울과 불안증상, 심리적 안녕감과 삶의 만족도를 예측하는데 있어 경험 회피와 마음챙김 주의 자각이 미치는 고유효과와 공유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대학생 216명을 대상으로, 경험 회피, 마음챙김 주의 자각, 우울증상, 불안증상, 삶의 만족도, 심리적 안녕감, 그리고 일반적인 긍정적 및 부정적 정서를 각각 측정하는 검사들을 실시하였다. 위계적 중다회귀분석 결과, 경험 회피는, 일반적인 정서경험수준과 마음챙김 주의 자각의 영향을 통제했을 때, 우울증상, 삶의 만족도, 그리고 심리적 안녕감 각각을 예측하는 데에 유의하게 기여하였으며, 불안증상에 대해서는 그 고유한 기여도가 유의한 경향을 보였다. 마음챙김 주의 자각은, 일반적인 정서경험수준과 경험 회피의 영향을 통제했을 때, 삶의 만족도를 제외한 우울증상, 불안증상, 그리고 심리적 안녕감 각각을 예측하는데 유의하게 기여하였다. 일반적인 정서경험의 영향을 넘어서서, 경험 회피와 마음챙김 주의 자각이 함께 기여한 공유 효과는 모든 준거변인들에서 유의하였으며, 그 정도는 심리적 안녕감, 삶의 만족도, 우울수준, 그리고 불안수준 순으로 컸다. 결론적으로, 이 결과들은 더 효과적으로 우울과 불안증상을 개선하고 심리적 안녕감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경험 회피와 마음챙김 주의 자각의 역할을 함께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며, 그리고 삶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경험 회피를 중점적으로 다뤄야 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xamine the independent and shared contributions of experiential avoidance and mindful attention awareness to the prediction of depressive symptoms, anxiety symptom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life satisfaction. Participants were 216 university students, who completed self-report inventories measuring experiential avoidance, mindful attention awareness, depressive and anxiety symptoms, life satisfactio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general affect(positive and negative).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revealed that experiential avoidance was a significant predictor of depressive symptoms, life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nd a marginally significant predictor of anxiety symptoms, when controlling for general affect and mindful attention awareness. Mindful attention awareness was a significant predictor of depressive symptoms, anxiety symptoms, and psychological well- being, but not of life satisfaction, when controlling for general affect and experiential avoidance. Experiential avoidance and mindful attention awareness together significantly predicted all of the dependent variables examined, above and beyond general affect. The degree of their shared contribution was the greatest to psychological well-being, followed by life satisfaction, depressive symptoms, and anxiety symptoms in descending order. In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it is important to consider the roles of both experiential avoidance and mindful attention awareness, in order to help clients improve their depressive and anxiety symptoms and to help them enhance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This research also suggests clinicians should focus on experiential avoidance in order to increase clients' life satisfaction.
·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