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독특성욕구와 사회적 거리감이 일본 브랜드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Consumers’ Need for Uniqueness and Social Distance of Korean Young Generation as an Antecedent to the Purchase Intention of Japan Corporate Brand)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이 논문은 한국인에게 있어 이중적, 딜레마적 인식과 감정의 대상인 일본을 중심으로 일본 기업 브랜드의 구매의도와 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두 가지 주요 독립변인들간의 영향관계를 한국의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살펴보기 위해 시도되었다. 즉, 선행연구에 대한 분석을 토대로 설정된 개인의 심리적 특성 요인(소비자독특성욕구, 사회적 거리감)이 일본 기업 브랜드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살펴보고자 했다. 또한 일본 방문 여부에 따라 집단을 구분하여 영향관계의 차이를 추가적으로 분석했다. 연구결과 전체 집단을 대상으로 한 경우 투입된 영향요인중 사회적 거림감만 유의적인 정적(+) 영향력을 지닌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일본 방분 경험이 있는 집단에서는 구매의도에 있어 사회적 거리감만 유의적인 정적(+) 영향력을, 일본 방문경험이 없는 집단에서는 유사성 회피 요인은 유의적인 부적(-) 영향력을, 심리적 거리감 요인은 유의적인 정적(+) 영향력을 지닌 것으로 나타났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predictors of the formation of the purchase intention of Japan corporate brand. It presents consumers’need for uniqueness and the social distance as theoretical frameworks and important influence variables. The results show several critical facts. Specifically, only the social distance of korean young generation has significantly positive influence on the formation of the purchase intention. Moreover,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isiting and non-visiting group of Japan.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