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안애착과 관계중독의 관계에서 삶의 의미와 고통감내력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 of Meaning of life and Distress Tolerance in Relationship between Anxiety Attachment and Relationship Addiction)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본 연구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불안애착과 관계중독의 관계에서 삶의 의미와 고통감내력이 매개하는지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구조모형 분석을 위하여 대학생 415명의 자료를 바탕으로 상관분석을 실시하여 변인 간의 관계성을 살펴보았고, 불안애착과 관계중독의 관계에서 삶의 의미와 고통감내력이 매개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매개모형 검증을 하였다. 불안애착, 삶의 의미, 고통감내력이 관계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불안애착은 관계중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동시에, 고통감내력을 매개로 하여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불안애착과 관계중독의 관계에서 삶의 의미와 고통감내력의 부분매개효과도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본 연구결과는 불안애착을 보이는 내담자의 관계중독을 감소하기 위해 고통감내력과 삶의 의미에 대하여 개입할 필요를 시사한다.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을 논하였고 후속연구에 대해 제언을 하였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nxiety attachment and relationship addiction, specifically, the mediating role of meaning of life and distress tolerance. A total of 415 undergraduates were analyzed vi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Correlation analysis and mediator model verification were performed on the collected data to examine whether meaning of life and distress tolerance had mediating roles in the anxiety attachment and relationship addiction. The results of the verification are as follows. First, anxiety attachment had a direct impact on relationship addiction and an indirect impact on relationship addiction with distress tolerance as a parameter, Second,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of meaning of life and distress tolerance were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nxiety attachment and relationship addiction. Implications are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