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금수급 노인을 대상으로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2022년 한국복지패널자료를 활용하여 공적 연금을 받고 있는 65세 이상의 노인 2,794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자료분석은 IBM SPSS 29를 이용하여 서술적 통계와 상관관계, 단계별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연금수급 노인의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은 자아존중감, 가족생활만족도, 여가생활만족도, 가족수입만족도, 우울, 건강상태, 사회적 관계 만족도, 연간 연금총액 순으로 나타났다. 이 모형은 연금수급 노인의 주관적 행복감 전체 변량의 34.6%를 설명하였다(F=168.15, p<.001). 본 연구는 연금수급 노인의 주관적 행복감에 연금의 효과도 살펴보고자 하였으나 실질적 연금총액이 낮아 그 영향력은 비교적 낮았던 것으로 판단된다. 노인의 안정적 노후생활과 행복감을 증진시키기 위해 연금제도의 보완과 더불어 지역사회의 프로그램개발과 실질적인 적용 노력, 정부의 의료서비스 및 복지서비스의 세심한 적용이 필요하다.
영어초록
This study analyzed 2,794 elderly people aged 65 or older receiving public pensions using data from the 2022 Korean Welfare Panel in order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subjective well-being of the elderly receiving public pensions. For data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using IBM SPSS 29. As a result, the effects on subjective well-being of senior pensioners were in the order of self-esteem, family life satisfaction, leisure life satisfaction, family income satisfaction, depression, health status, social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total annual pension. This model explained 34.6% of the total variation in subjective well-being of the elderly receiving pensions (F=168.15, p<.001). This study also attempted to examine the effect of pension on the subjective well-being of senior pensioners, but it was regarded that the effect would be relatively low due to the insufficient total pension amount. In order to improve the stable life and happiness of the elderly, it is necessary to supplement the pension system, develop programs in the community, make efforts to apply them practically, and carefully apply the government's medical and welfare services.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