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감’과 ‘해장’의 사전 뜻풀이와 방언형 고찰 (Abstract A Study of the Explanation of ‘Gam’ and ‘Haejang’ in Korean Dictionary and Dialect)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2 최종저작일 2022.11
30P 미리보기
‘감’과 ‘해장’의 사전 뜻풀이와 방언형 고찰
  •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국어문학 / 81권 / 81호 / 113 ~ 142페이지
    · 저자명 : 서정섭

    초록

    국어사전은 정확한 뜻풀이를 위해 오랜 시간 세심한 확인 과정을 거쳐 편찬한다. 방대한 어휘를 수록, 기술한 국어사전의 편찬 작업은 지난한 노력과 시간이 필요한 일이다.
    이 연구에서는 국어사전의 ‘감꽃’과 ‘해장’의 뜻풀이를 살펴보고 그 의미를 명확히 하고자 하였다. ‘먹시, 먹감, 흑시’가 감과 감나무로 혼용되고 있다. ‘감또개’, ‘감똑’의 뜻풀이가 사전마다 다른 양상을 살펴보고, 방언에서의 쓰임과 비교하였다.
    『표준국어대사전』, 『고려대한국어대사전』에서 ‘감또개, 감똑’을 ‘꽃과 함께 떨어진 어린 감’이라 하고 있다. 감 재배 지역에서 ‘감꽃과 함께 떨어진 어린 감’을 지칭하는 어휘는 없다. ‘감또개’는 ‘어린 감’이 아니라 ‘감꽃’이나 ‘감말랭이’를 가리키고, ‘감똑’은 ‘감꽃’과 ‘감 건조장’을 가리킨다. ‘감꽃’은 지역에 따라 서로 다른 어휘를 쓰고 있다. 곶감 건조장을 지역에 따라 ‘감덕’, ‘감똑’, ‘감독’이라 한다. 경상도에서는 ‘덕’을 ‘독’과 된소리 ‘똑’으로 발음한다.
    ‘해장’은 해정(解酲)에서, 해장국은 해정국(解酲-)에서, 해장술은 해정주(解酲酒)에서 유래하였다. ‘해장’의 사전뜻풀이에서 확인할 수 있는 의미는 [+국 종류의 음식 또는 술]과 [+술 해독]이다.
    전북의 전 지역과 충남 부여시, 논산시, 경남 밀양시 지역어에서 ‘해장’이 [+음식]뿐만 아니라 [+식전(시간)]의 의미로 널리 쓰이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문학작품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해장’이 ‘식전 해뜨기 전’임을 알 수 있는 어휘가 ‘해장떡’이다. 남한강과 북한강이 만나는 경기도 양평군 두물머리에서 뱃사공들이 허기진 배를 채우던 떡이다. 서울 성동구 성수동 뚝섬에서는 이름이 ‘국말이떡’으로 변했다. ‘해장떡, 국말이떡’은 사전 표재어로 등재되어 있지 않다.
    ‘해장거리도 안 되는 녀석’에서 ‘해장’이 [+음식], [+식전], [+간단한] 중에서 [+간단한]에 의미의 중점을 두어 새로운 의미로 확장하는 예를 볼 수 있다. 충청도 방언에서 시간상으로 ‘해장 무렵, 식전, 새벽 즈음’ 의미로 ‘해장결, 해장어름, 해장가락’이 있다.
    이 연구에서는 ‘감꽃’과 ‘감말랭이’의 ‘감또개’, ‘감 건조장’의 ‘감똑’, [+식전(새벽 시간)]의 ‘해장’의 뜻풀이 내용에 집중하여 논의를 하였다.

    영어초록

    In Standard Korean Dictionary and Korea Korean Dictionary(고려대한국어대사전), Gamttogae(감또개) and Gamdok(감똑) are referred to as "young persimmons falling with flowers(감꽃과 함께 떨어진 어린 감)." There is no vocabulary to refer to "young persimmon that fell with persimmon flowers" in the persimmon cultivation area. "Gamttogae(감또개)" refers not to "young persimmon" but to "gamkkot(감꽃)" or "gammalaengi(감말랭이)." "Gamttok(감똑)" refers to "Gamkkot(감꽃)" and "Gamdryjang(감 건조장)". The dried persimmon drying plant is called "Gamdeok(감덕)" and "Gamttok(감똑), Gamdok(감독)". In Gyeongsang-do, 'deok(덕)' is pronounced as 'dok(독)' and 'dott(똑)' of the fortis(된소리).
    Haejang(해장) is a "drink a little with haejangguk(해장국) to relieve the alcohol from the previous day." The meanings that can be found in the dictionary's interpretation of the meaning of Haejang(해장) are [+Korean food(국 종류 음식) or alcohol] and [+alcohol detoxification(술 해독)].
    The vocabulary that shows that "Haejang(해장)" is "before the sunrise before the meals" is "Haejangtteok(해장떡)." Today, Haejang(해장) is used, but Haejeong(해정) is seen first in the literature. Haejeong(해정) and Haejeongsul(해정술) can be seen in the data of Andong-si(안동시) and Yeongdeok-gun(영덕군), Gyeongsangbuk-do, which were recorded in 1980-81 An Outline of Korean Oral Literature (한국구비문학대계). In dialects, "Haejang(해장)" is widely used not only as [+food] but also as [+before the sunrise before the meals(time)(식전)]. "Haejang(해장)", which means "before the sunrise before the meals(식전)" is used not only in Jeollabuk-do but also nationwide. This phenomenon can also be confirmed in literary work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4월 22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4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