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사회는 의학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과거에 비하여 많은 질병의 치료가 가능해졌으나 수술적 치료를요구하는 질병이 아닌 정신적 질환의 인구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 아동들의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자폐증 진단율이 가파른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정신적 질환을 앓는 아동들은 촉각적 과민반응을 보이는 경우가 많아 의복 선택의 어려움을 호소하므로 이들을 위한 의복 개발이 필요하다. 패션디자인분야의 연구에서는 신체적 장애를 가진 사람들을 위한 의복에 대한 연구들이 지속해서 발표되어 왔으나 정신적 질환의 치유를 위한 디자인에 대한 연구 사례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므로 그 연구의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본 연구는 정신적 질환의 완화를 돕는 재킷 디자인 연구로, 먼저 문헌연구를 통한 각 질환에 대한 병리학적이론적 고찰과 다양한 의복 개발 사례의 분석을 토대로 정신적 질환의 치유를 위한 패션디자인에서 반영해야할 디자인 특성 및 요소를 정립하였다. 첫째, 강한 자극을 주는 채도가 높은 색을 피해야 한다. 둘째, 매끄럽고부드러운 촉감의 소재를 사용해야 하며 연령대를 고려하여 실용성과 내구성을 모두 갖추어야 한다. 셋째, 시접 및 라벨에 따가움을 느끼므로 소재의 평평함을 유지하는 봉제 방법의 사용이 필요하다. 넷째, 차가운느낌의 메탈 부자재를 피하고 쉬운 방법의 여밈을 사용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무게 주머니의 제작이 필요하며체중의 5% 무게를 재킷을 통해 고르게 전달해야 한다. 이를 적용한 여아용 무게감 있는 의복을 디자인하여전문가의 심사에 따라 가장 적합하다고 생각되는 재킷 디자인을 최종 선택하여 제작하였다. 치료용 의복의기능을 갖추면서도 기존의 단순한 기본형 제품들의 미적 단점을 보완하여 착용자의 만족감을 이끌어 내었다.
본 연구에서의 작품 제작은 심미성과 기능성을 갖춘 정신적 치유를 위한 의복 개발의 첫 시작으로서 의의가있다. 사회의 변화를 살피며 사람들의 신체적, 정신적 요구와 새로운 형태의 의복의 필요를 파악하고 이를충족시켜주는 디자인을 할 수 있도록 디자이너의 끊임없는 연구와 노력이 요구된다. 정신적 치유를 위한 의복에 대한 연구는 패션 디자이너가 사회의 문제점 해결에 직접적으로 기여하여 인간의 삶의 질을 고양하는긍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는 사례를 제시함으로써 패션디자인의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영어초록
The recent development of advanced medical technology has made many diseases curable. However, the population of mental illnesses that doesn’t require surgical treatments is rapidly increasing. In particular, the rate of diagnosing ADHD and autism among children is growing. Children who are suffering from these mental disorders are often hypersensitive and have difficulties in choosing clothes. They need special clothes to calm themselves but there is not enough research on fashion design for the treatment of mental illness. This study examines how to design in order for the children to calm symptoms of mental illness. Major design elements to consider were defined based on the analysis of various cases and literature review. First, high-saturated intense colors should be avoided. Second, a smooth fabric should be used and it has to be practical and durable considering the age. Third, it is necessary to use a sewing method to maintain the flatness of the clothes. In addition, cold-feeling metal materials such as a metal zipper should be avoided. Finally, the weight pocket needs to be made inside of the garment and 5 percents of wearer’s weight must be delivered evenly through the jacket. As a result of this study, a weighted-jacket for girls was designed based on the discovered features and experts confirmed the suitability of the jacket. Both functional and aesthetic weighted jacket was made to fulfill wearer’s needs. This study is meaningful as the first step of design development for mental illness considering both aesthetic and functional qualities. Designers need to identify people's needs for the new types of clothes and design to meet the needs. The study showed new possibilities in fashion design by presenting examples where fashion designers can play a positive role in enhancing quality of life by directly contributing to solving problems in society.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