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실내공기질 향상을 위한 실내공기질 개선용 오염물질 농도저감 건축자재의 사용 및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오염물질 흡착에 관한 실험적 연구가 수행되어 왔으나 실내벽면에 적용된 흡착건재의 성능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실험 및 수치유체해석을 통하여 바닥에서 오염물질 톨루엔이 발생한 경우 흡착건재에 의한 농도저감 효과 및 환기회수, 시료부하율, 물질전달율이 흡착건재의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Case study를 수행하여 흡착건재의 최적설치에 관하여 검토하였다. 그 결과 흡착건재의 오염물질 흡착성능이 뛰어난 것으로 나타나 흡착건재에 의한 실내 톨루엔 농도저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영어초록
Recently, In order to improve indoor air quality, the interest in sorptive building materials and their use have been increased. Accordingly, Experimental studies on adsorption of pollutants have been conducted. However, there has been minimal analysis regarding performance of sorptive building materials applied to the indoor wall.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effects of wall-applied sorptive building materials on the decrease in the concentration of toluene emitted from the flooring. We also examined the influence of the air change rate of a room, the loading factor of sorptive materials, and the mass transfer coefficient on sorptive performance; these effects were well reproduced experimentally with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CFD) simulations. Finally, We examined the optimal installation of sorptive building materials by performing a case study. The results show that sorptive building materials have a fairly strong effect on the decrease in toluene concentrations in rooms and that this effect can be expected in real-world scenarios.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