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의 인권친화적 양육태도가 유아의 자아존중감 및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arents’ Human Rights-Friendly Parenting Attitude on Young Children’s Self-esteem and Happines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의 인권친화적 양육태도,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행복감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인권친화적 양육태도가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행복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는 데 있다. 이를위해 본 연구는 2023년 11월부터 12월까지 대구 ․ 경북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에 다니는 만 3~5세 자녀를 양육하는 부모 302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상관분석과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으로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첫째, 부모의 인권친화적 양육태도와 유아의 자아존중감 간의 관계는 정적 상관이 있으며, 부모의 인권친화적 양육태도는 유아의 자아존중감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의 인권친화적 양육태도와 유아의 행복감 간의 관계는 정적 상관이 있으며, 부모의 인권친화적 양육태도는 유아의 행복감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부모의 인권친화적 양육태도가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행복감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임을보여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유아의 긍정적 성장과 발달을 위해 부모가 인권친화적 양육태도를 가지는것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human rights-friendly parenting attitudes and young children’s self-esteem and happiness, and to examine how human rights-friendly parenting attitudes affect young children’s self-esteem and happiness. To this end,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targeting 302 parents raising children aged 3 to 5 who were attend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in Daegu and Gyeongbuk from November to December 2023.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correlation analysi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arents’ human rights-friendly parenting attitudes and young children’s self-esteem. It also found that parents’ human rights-friendly parenting attitudes had a positive effect on young children’s self-esteem.
Second,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arents’ human rights-friendly parenting attitudes and young children’s happiness, and parents’ human rights-friendly parenting attitudes had a positive effect on young children’s happiness. The findings show that parents’ human rights-friendly parenting attitude is an important variable that positively influence young children’s self-esteem and happiness.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for parents to have human rights-friendly parenting attitudes for the positive growth and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