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양무용 참여자의 무용능력성취, 주관적 행복감, 생활만족의 관계 (The relationships between dance ability achievement, subjective happiness and life satisfaction of students participated liberal dance clas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이 연구의 목적은 교양무용 참여자의 무용능력성취, 주관적 행복감, 생활만족의 관계를 구명하는데 있다. 이에 연구대상자는 서울, 경기, 전주, 충북지역에 소재되어 있는 4년제 대학 교양무용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표본의 추출은 비확률표집방법 중 편의표본추출법(convenient sampling method)을 이용하여 최종 213부의 설문지가 실제분석에 사용되었다. 자료처리는 SPSS 18.0 프로그램과 AMOS 18.0 통계패키지를 이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 측정모델요인분석, 상관관계 분석, 구조방정식모형(stuctural equation modeling: SEM)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이 도출되었다. 첫째, 교양무용 참여자의 무용성취능력의 실기능력성취는 주관적 행복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해능력성취는 주관적 행복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양무용 참여자의 주관적 행복감은 생활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양무용 참여자의 이해성취능력은 여가만족, 실기성취능력은 건강만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무용성취능력은 생활만족에 대부분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between dance ability achievement, subjective happiness and life satisfaction of students participated liberal dance class. The subject was a population of 250 university liberal dance students during the period of time September 30, 2016 to November 6, 2016. The data on 213 students were used for actual analyses and data were processed with SPSS 18.0 for Window and Amos 18.0 for correlation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SEM).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dance ability achievement had positive effects on subjective happiness. Second, subjective happiness had positive effects on life satisfaction. Third, dance ability achievement had positive effects on life satisfaction.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