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도시위험인식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도시위험인식과행복감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본 연구는 서울시의 「2012년 서울서베이 도시정책지표조사」 데이터를 이용하였으며, 분석결과 서울시민의 도시위험인식은 행복감에 유의미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도시위험인식 유형인 1) 자연적 위험, 2) 사회적 위험, 3) 기술적 위험인식이 높아질수록 서울시민의 행복감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위험인식이 행복감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력의 크기는 기술적 위험이 가장 컸으며, 사회적 위험이 가장 작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위험’이라는행복하향요인(de-motivator)의 분석을 통해 정부는 안전에 대한 투자를 늘리고 안전한 환경을 조성하여 주민행복을 증진해야 한다는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empirically analyzes the effects of urban risk perception on happiness. We use data from the 2012 Seoul Survey’s Urban Policy Index Survey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urban risk perception and happiness, and evidence verifies that Seoul citizens’ urban risk perception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negative influence on their happiness. To summariz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perceptions of 1) environmental risks, 2) social risks, and 3) technological risks – types of urban risk perception – increase, Seoul citizens’ happiness declines. Second, in terms of the degree of negative influence that risk perception has on happiness, technological risks have the greatest impact and social risks the least. By analyzing risk, a de-motivator of happiness, this paper provides a meaningful public policy implication: the government should augment its investments in security and establish a safe environment in order to enhance citizens’ happiness.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