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성별과 성역할 정체감이 대학 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대학생의 적응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연구 참여자는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남학생 142명과 여학생 146명이다. 연구도구는 대학생활 적응 척도와 성역할 정체감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SPSS와 Process macro를 활용하여 병렬다중매개모형 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적응의 수준과 자원에 대한 성별의 영향은 유의하나 성 역할 정체감의 영향이 함께 고려되었을 때에 설명력이 의미 있는 수준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적응 수준에 대한 남성성과 여성성의 영향은 유사하였으나 적응 자원에서는 남성성이 여성성보다 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남학생은 남성성이, 여학생은 여성성이 매개하여 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러한 결과는 성과 정체감에 따라 지도방향이 달라야 함을 제안하며 진취적이고 도전적인 정신의 중요함을 보여준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ex and gender role identity on college life adaptation. The participants were 142 male and 146 female students. The university life adaptation scale and gender role identity scale were carried out, and we conducted a parallel multiple mediator model using Process macro. As a result, while the effect of sex on adaptation level and resources was significant, the explanatory power increased to a meaningful level when effect of gender role identity was considered. In the adaptation level, the effects of masculinity and femininity are similar in magnitude, but in the resources, masculinity has a more positive effect. Finally, male students were mediated through masculinity and female students were mediated through femininity, which has a positive effect on adaptation. These results suggest a differentiated guidance direction according to sex and identity, and suggest that enterprising and challenging spirit is important.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