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수오지심: 도덕 정서로서의 수치심과 혐오감 (Suojisim: Shame and Disgust as Moral Emotion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1 최종저작일 2019.04
32P 미리보기
수오지심: 도덕 정서로서의 수치심과 혐오감
  •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윤리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윤리교육연구 / 52호 / 45 ~ 76페이지
    · 저자명 : 채석용

    초록

    본 연구는 도덕 정서로서의 수오지심, 즉 수치심과 혐오감이 도덕교육에서 중요한 의의가 있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해본 연구는 수치심과 혐오감의 의의를 도덕심리학의 성과를 빌려 옹호한다. 타인의 부도덕한 행태는 나의 혐오감을 유발하며 나의 부도덕한행태는 타인의 혐오감을 유발한다. 나의 부도덕한 행태에 대한 타인의혐오감은 나의 수치심을 유발하며 타인의 부도덕한 행태에 대한 나의혐오감은 타인의 수치심을 유발한다. 수치심은 하이트가 제시한 공정성/상호성 모듈과 연관되며 혐오감은 순수성/위생 모듈과 연관된다. 수치심은 가족 공동체 너머 사회적 유대를 위해 진화적으로 적응한 결과이며 혐오감은 오염을 피하고자 하는 생물학적 방어 기제로서 진화적으로 적응한 결과이다. 요컨대 수치심과 혐오감은 서로 긴밀하게 연관된 도덕 정서이다. 현재 도덕교육에서 수치심과 혐오감이라는 부정적정서는 중요하게 다뤄지지 않고 있다. 도덕 정서인 수오지심을 도덕교육에 반영한다면 도덕교육의 내용이 더욱 풍부해질 것이다. 그러나 수오지심을 도덕교육에 반영하는 과정에서 유의할 점이 있다. 첫째, 수오지심은 측은지심의 한계 내에서 발현되도록 지도해야 한다. 수오지심은 부정적 정서로서 자칫하면 인간의 가장 중요한 덕목인 공감 능력을훼손할 우려가 있다. 둘째, 수오지심은 사회적 조건과 결부될 때 오히려 정의롭지 못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는 누스바움의 경고를 잊지말아야 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argues that suojisim as a moral emotion, that is, shame and disgust are important in moral education. To support this argument, this study supports the significance of shame and disgust by borrowing the achievements of moral psychology. The immoral behavior of others causes my disgust, and my immoral behavior causes disgust of others. Others’ disgust with my immoral behavior causes my shame and my disgust with others' immoral behavior causes the shame of others. Shame is related to the fairness/reciprocity module presented by Haidt and disgust is associated with the purity/sanity module. Shame is the result of evolutionary adaptation for social bonding beyond the family community. Disgust is the result of evolutionary adaptation as a biological defense mechanism to avoid pollution. In short, shame and disgust are closely related moral emotions. At present, the negative emotions of shame and disgust are not treated as important in moral education. If suojisim as a moral emotion is reflected in moral education, the content of moral education will become richer. However, there is something to be noted in the process of applying shame to moral education. First, suojisim should be taught within the limits of compassion. Because suojisim is a negative emotion, it is possible to undermine empathy, which is the most important virtue of human being. Second, we must not forget the warning of Nousbaum that suojisim can lead to rather unjust consequences when combined with social conditio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4월 19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5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