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박장애의 대표적 증상 중 하나인 확인행동의 원인으로 책임감과 기억신뢰가 선행연구들을 통해밝혀져 왔다. 본 연구에서는 기억신뢰가 확인행동에 미치는 영향이 책임감의 수준에 따라 달라질수 있다는 가정 하에 책임감과 기억신뢰가 상호작용하여 확인행동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실험적으로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2(책임감: 고/저)×2(기억신뢰: 고/저)의 완전무선설계였으며 대학생 69명이 참가하였다. 먼저 지시문을 통해 책임감 고/저를 조작하고 첫 번째 알약모형 분류과제를 실시하였다. 그다음에 참가자들은 분류과제에서 자신이 선택하였던 알약모형들을 재인하는 기억검사를 실시하였다. 그 이후 실제의 검사점수가 아닌 가상의 검사점수를 통해 기억신뢰를 조작하고 두 번째 알약모형 분류과제를 실시하였으며 과제 수행 중 나타나는 확인행동의 횟수와 시간을 측정하였다. 분석 결과, 확인행동 횟수와 시간 모두에서 이원상호작용이 유의하게 나타나 가설이 지지되었다. 구체적으로 책임감이 낮은 조건에서는 기억신뢰가 낮은 집단과 높은 집단 모두확인행동 횟수와 시간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반면 책임감이 높은 조건에서는 기억신뢰가 낮은 집단이 높은 집단보다 확인행동 시간이 더 길었고 횟수 또한 더 많았다. 이 결과는 기억신뢰가 확인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책임감의 수준을 고려해야 함을 시사한다. 그리고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 및 장래연구 방향을 논의하였다.
영어초록
It has been found that memory confidence and responsibility are the cause of checking behavior, one of the representative symptoms of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based on previous research stud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memory confidence on the checking behavior according to the level of responsibility. The main hypothesis of present study was as follows: The effect of memory confidence on the checking behavior would be significant under the condition of high level of responsibility. Such effect would be in, significant under the condition of low level of responsibility. To test the hypotheses, a 2×2 analysis of variance(ANOVA) with memory confidence(high/low) and responsibility(high/low) as between-participants factors was performed on the checking behavior. Sixty nine undergraduates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he four experimental condition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upported the main hypothesis. The interaction between factors was significant. Under condition of higher responsibility, the checking behavior was higher with lower memory confidence. However, under the condition with lower responsibility, the checking behavior was not different between lower and higher memory confidenc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effect of memory confidence on checking behavior is moderated by the level of responsibility only when the level of responsibility is high. The implication and limitation of this study and direction for future studies are also disussed.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