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명청대에는 주역을 제왕학의 교본으로 이해하고 활용했었으며, 조선조에서도 이러한 관점의 저술을 확인할 수 있는데 오위귀감(五位龜鑑)이 대표적이라 할 수있다. 본 고는 오위귀감(五位龜鑑)분석을 통해 주역과 군주론의 상관성을 규명하려는 시론적 성격의 글이다.
오위귀감(五位龜鑑)은 주역의 64개 괘 5효로부터 군주가 교훈으로 삼아야 할 치도와 치덕을 제시한 글로 주역이 제왕학의 교본임을 확인할 수 있는 대표적인 저술이다. 석지형은 5효 효사의 해석과 의미도출을 위해서 의리역과 「정전」의 관점을 기본관점으로 하되 보충이 필요할 경우 호괘를 적용했고, 몇몇 개의 5효 해석에서는 「본의」, 동파역전,석지형 본인의 관점을 적용해 의미를 분석하고 있다. 이를 토대로 석지형은 현실정치에서 군주는 신하를 효과적으로 다루는 통치술과 변화하는 정치 환경에서 자신의 지위를 지키고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처세술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제시한다. 오위귀감(五位龜鑑)이 제시하는 군주론은 주역의 핵심인 시중지도를 근본으로 현실과 이상의 조화를 추구하는 현실정치론이다.
영어초록
Owigugam(五位龜鑑) is a book written in Seokjik(1610~?). It is the Eastern jewanghak(帝王學) that describes how the I Ching(周易) can teach the monarch a lesson from the side of the rule. Books written by the monarch as a lesson for political embodiment are numerous books written on the basis of Si shu(四書) and Liujing(六經).
What is unique about the Owigugam(五位龜鑑) is that it is presenting the archipelago based on the I Ching(周易). wu yoa(五爻) of the I Ching(周易) is the position of the monarch, offering lessons to the monarchy and the monarch's less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e characteristics of disciplines of kingship which is presented by the Owigugam (五位龜鑑), in terms of aspects of the theory.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