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적립식투자와 거치식투자의 비교에 대한 기존 연구들이 동일한 투자원금을 가정하고 있다는 점에서 착안하여 소규모 투자금액으로 인해 적립식투자는 가능하나 거치식투자는 어려운 투자자가 차입을 통해 거치식투자를 선택할 수 있다고 가정하고 이러한 경우 적립식투자와 거치식투자의 최종가치를 비교하는 방식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적립식투자는 초기 투자시점의 주식가격을 차입이자율로 할인한 값이이후 주식가격의 경로에 따른 조화평균보다 큰 경우 거치식투자보다 높은 미래가치를가지게 됨을 볼 수 있었으며, 적립식투자의 평균적인 최종가치는 차입이자율과 평균투자수익률에 따라 거치식투자보다 높을 수도 있음을 확인하였다. 한편 과거자료를 활용한분석에서는 차입이자율과 시장여건 및 추세에 따라 적립식투자와 거치식투자의 성과가차이가 나타났으며 투자기간의 영향도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어초록
Literatures on the comparison of DCA and LS assume that initial investment amountsare the same. But I assume that the investor cannot choose LS because of fund limitationsso he can choose LS when he borrows, and do the comparison of final values of DCAand LS when the investor can borrow. As a result, DCA can have a higher final valuethan that of LS if the initial stock price discounted by the borrowing rate is higher thanthe harmonic mean of the future price path. The average final value of DCA can behigher depending on the borrowing rate and average investment return. In the analysisof past data, borrowing rate, market condition and trend determine the difference ofperformance between DCA and LS, and investment horizon effects too.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