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보육시설에 근무하는 보육교사들을 대상으로 교사효능감과 교사-영아 상호작용간의 관계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충청남도에 소재한 보육교사 224명이다. 분석방법으로 빈도분석, t-test,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Pearson 적률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보육교사의 교사 효능감은 평균보다 약간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근무경력과 연령이 높을수록 교사효능감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교사-영아 상호작용은 보통이상으로 높게 나타났다. 국공립 및 법인 보육교사보다 민간어린이집 보육교사의 교사-영아 상호작용이 높게 나타났고, 근무경력이 높을수록 교사-영아 상호작용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교사효능감과 교사-영아 상호작용은 높은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어초록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 care teachers' self-efficacy and interactions between teachers and infant of child care teachers, and utilize the results as the basic data to educate of teachers. The subjects were 224 teachers at 75 child care centers located in the Chungcheongnam-do area. Frequency analysis, t-test, one-way ANOVA, Pearson's product-moment correlation analysis and sim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for the purpose of analysis in this study. From the research, it was found that:first, it is proved that child care teachers' self-efficacy is higher than average.
second, it is proved that child care teachers' interaction of teachers and Infants is higher than average. ; and third, there was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hild care teachers' self-efficacy and interaction of teachers and Infants.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