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행기관 : 한국사상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사상과 문화 / 100호 / 1149 ~ 1180페이지
· 저자명 : 정학열
초록
본 연구에서는 불교의 사상적 교리와 가르침을 바탕으로 불교의 사회적 기업을 중심으로 불교의 사회적 책임과 공유가치창출의 관계를 고찰하고자 한다. 특히, 불교의 사회적 기업들은 사회적 책임의 실천으로서 운영하고 있지만 아직까지 불교의 사회적 책임에 관한 역할과 실천행동들에 대한 논의는 계속 남아있다. 게다가 불교의 사회적 기업들은 시대정신에 부합된 자비와 보시 행을 보여주고 있으나, 사회와 사회 구성요인들은 더욱 불교의 사회적 책임과 실천 행동을 요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불교의 사회적 책임이 기업의 경영 노하우와 사회적 책임 사례를 활용하여 공유가치창출에 대한 합의를 만들어 내고 발굴해야 함을 제시한다. 또한 어떻게 불교의 사회적 기업들이 아직까지 제대로 논의되지 않은 불교의 공유가치창출에 대한 합의를 통해 더욱 잘 운영될 수 있는지에 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즉, 불교의 사회적 책임은 불교계의 공유가치창출에 대한 합의를 통해 더욱 성공적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한 효율적인 기업경영의 도입을 제시한다.
결론적으로 불교의 사회적 책임과 관련된 공유가치창출은 중생들에게 공유가치를 제안함으로써 붓다의 가르침을 더욱 효과적으로 전달되도록 할 것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proposes how the Buddhist’s enterprises manage themselves well through the CSV’s insights of Buddhism which has not been discussed yet. Shortly, the SR of Buddhism will be successfully achieved by making the CSV consensus of Buddhists and also introductions of efficient corporate management. As a result, the CSV related social responsibility of the Buddhism will transfer effectively the Buddha’s teachings by making shared value propositions to the people.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