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교실의 창의적 분위기 수준을 측정하는 도구인 창의적 교실 분위기 척도(CCQ)의 요인을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확인하고, 창의적 교실 분위기 수준에 따른 학생들의 창의성과 학습동기 간의 관계가 어떠한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6학년 223명이며, 최종 206명의 자료만이 분석에 사용되었다. 첫째로 본 연구에서는 창의적 교실 분위기 척도의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지원, 신뢰, 도전, 즐거움, 의사소통으로 구성된 5요인 모형이 신뢰로우며 준거 척도인 C-DEPs와 적절한 공인타당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창의적 교실 분위기 척도가 창의적 환경을 측정하는 도구로써 타당하게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창의적 교실 분위기와 창의성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창의적 교실 분위기는 창의적 동기와 가장 높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창의적 교실 분위기의 하위 요인 가운데 도전 및 의사소통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창의적 교실 분위기와 자기결정성 동기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자기결정성 동기의 부과된 원인과 내재적 원인이 창의적 교실 분위기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학생들의 창의성과 동기를 향상시키기 위해 도전적이며 활발한 의사소통이 가능한 창의적 환경을 조성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1) verify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Creative Climate Questionnaire (CCQ), and 2) examined relationships among creative climate, creativity and motivation. The study included 223 elementary 6th grade students and used 206 students for analysis. Result of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upported that a five factor structure model (support, trust, challenge, playfulness, communication) of CCQ. Also, CCQ was correlated significantly with C-DEPs. This results showed that CCQ was a valid and reliable questionnaire. Futhermore,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creative climate, creativity and motivation. Creativity and motivation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y the degree of creative climate in the classrooms. Especially, creative motivation and intrinsic motivation were greatly influenced more by the environment.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