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전통시장은 오랜 역사를 지닌 도·소매 거래의 장으로서 다양한 상품에 대한 일괄구매의 편의성 제공, 도시·농촌 간 상품의 교환 등 지역경제에 있어 중요한 기능을 수행해왔다. 그러나 전통시장은 1990년대 이후 경쟁력 저하에 따른 침체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최근의 소비자들은 전통시장의 필요성을 별로 느끼지 못하며, 대형유통업체, 중저가 쇼핑몰 등 신업태가 증가하고 전자상거래 비중이 높아져 유통경쟁이 심화되고 있다. 소비자들의 행태도 급격히 변화하고 있으나 이에 대한 전통시장의 대응은 아직 미흡한 상황이다.
1990년대 초 4,500여개 소였던 전국의 전통시장은 2010년 1,517개로 급감하였으며, 국내 소매업태 매출규모가 2005년 약 203조 원에서 2010년 약 276조 원으로 성장한 데 반해 전통시장은 약 33조 원에서 약 24조 원으로 감소하였다. 이는 같은 기간 대형마트의 매출이 약 24조 원에서 약 34조 원으로 증가한 것과 대조되며, 무점포판매가 2009년 약 27조 원에서 2010년 약 31조 원으로 급성장한 것도 전통시장 매출감소의 한 원인으로 지목된다.
2010년 현재 전통시장의 총 시장상인 수는 약 36만 명으로 지역경제에 있어서도 중요한 한 축을 담당하고 있다. 정부는 1990년대 말부터 시설현대화사업과 경영현대화사업으로 구분하여 전통시장 활성화정책을 시행하고 있으나 그 효과는 의문시된다. 이는 대부분의 사업이 일회성에 불과하고 전통시장의 공간적 특성에 대한 고려가 없이 획일적으로 시행되기 때문이다. 특히 전통시장을 대표하면서 관광자원으로서도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서울 남대문시장의 경우 고객 유인을 극대화할 수 있는 공간적 구조 형성에 관한 연구가 요구되나, 시장내 특정 업종에 대한 분석만이 이루어졌을 뿐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남대문 전통시장의 입지특성을 거래주체의 시각에서 분석하고 이에 부합하는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시장내 상인과 수요자를 대상으로 다년간에 걸쳐 이루어진 인터뷰 결과를 분석하여 (1) 거래주체들이 인식하는 남대문시장의 입지상 장점 및 단점의 변화를 살펴보고 (2) 상가 집합체로서 인접점포 상인들간의 관계가 어떻게 변모해왔는지 분석한다. 아울러 (3) 물리적 공간의 한계를 극복하게 해주는 인터넷 거래시스템에 대한 상인들의 태도 및 이에 대한 대응이 어떻게 바뀌어왔는지 알아보며 (4) 정부 지원 하에 시행된 남대문시장 전자상거래시스템의 성과도 평가하고자 한다.
본 논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제 2장에서는 물리적공간과 사이버공간에서 고객 유인력을 높일 수 있는 요인이 무엇인지 선행연구를 통해 파악해본다. 제 3장에서 물리적공간과 사이버공간에 대한 남대문시장 상인 및 소비자의 의견을 상세히 비교 분석한 후, 분석결과에 기초하여 제 4장에서 전통시장의 활성화를 위한 정책을 제시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attempts to identify major gaps in the perception of merchants and customers on the attractiveness of Namdaemun Market in downtown Seoul. Selected interviewees were asked to express their opinions on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in the loca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Market. Also investigated were, inter alia, relationships among the shopkeepers and their attitudes toward online shopping. The results clearly reveal the changes that took place over the years and various challenges lying ahead for the Namdaemun Market to remain competitive. Future efforts need to focus on maintaining pleasant shopping environment, while improving the level of service and accessibility to attract more young groups of consumers.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