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재독 한인 국제결혼여성의 문화 간 커뮤니케이션을 살펴보기 위해 독일 거주 한인 국제결혼여성 6명을 연구 참여자로 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홉스테드(Hofstede, 1991)와 홀(Hall, 1976)에 기반한 비교문화 관점에서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는 문화적 소통, 언어적 문제, 사회적 적응 차원의 세 가지 영역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각 영역의 특징을 정리하면 첫째, 한국과 독일 양쪽 문화의 차이로 인하여 부부, 자녀, 대인관계에서 정서적 간극이 있다. 둘째, 어머니의 언어가 자녀에게 전수되지 않음으로써 어머니와 자녀와의 정서 교류에 어려움이 있다. 셋째, 한인여성들은 한국과 독일의 문화 간 차이로 인해 문화적 소외감을 더욱 크게 가진다. 그러나 한인 국제결혼여성들은 자기 자신의 정체성을 강화하고 모국 문화와 거주국 문화를 이해함으로써 문화적 소통의 장을 넓히고 있다. 이들이 오랜 기간 독일에 거주하면서 자문화를 고집하는 것은 배제의 또 다른 형태로 간주될 수 있다. 그러므로 이주자와 정주자 사이의 문화적 간극을 좁힐 방안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
영어초록
The author of this study collected resources on six internationally- married Korean women in Germany to examine this group’s intercultural communication. The collected sources were analyzed through the perspective of comparative culture, based on the studies of Hofstede (1991) and Hall (1976). The result indicated three different categories: cultural communication, linguistic problems, and social adjustment.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ategory were found to be as follows: for the first category, emotional gaps were evident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husband and wife, as well as between mother and children and in other interpersonal relationships due to cultural differences between Korea and Germany. For the second category, because the mothers’ language was not being passed on at home, these women were struggling to express their emotions to their children. Third, the cultural differences between Korea and Germany were causing increased cultural isolation among the women as immigrants. However, they were attempting to broaden their horizons in terms of cultural communication by strengthening their own identities and understanding the cultures of both their home country and their country of residence. Claiming and practicing solely the home country's culture is another form of exclusion as these women were staying in Germany for a long period time. Therefore, it is time to think about how to narrow the cultural gap between immigrants and permanent residents.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