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시주간명법에 관한 쌍둥이 사주의 연구이다. 시주간명법이란 일란성 쌍둥이의 운명을 서로다르게 예측하고 판단할 수 있는 쌍둥이의 운명에 관한 사주 간명법이다. 일반인의 사주는 일간을 주체로 보아 간명하나 쌍둥이는 같은 날 같은 부모로부터 태어난 두 개의 인격체이므로 일간에 같이 들어갈 수가 없다. 따라서 쌍둥이의 사주는 시주를 주체로 본다. 즉 쌍둥이 형과 언니는 시간을 체로 보고동생은 시지를 체로 보아 간명한다. 대운을 적용하는 방법은 형과 언니는 운간을 위주로 보고, 동생은운지를 적용한다. 시주간명법은 다른 쌍둥이 사주의 간명법보다 적중률이 높을 뿐만 아니라 최근에 자주 출생하고 있는 3인 이상의 다란성 쌍둥이의 간명이 가능한 이론이다. 즉 논리의 확장이 가능하다.
그리고 그 어떤 이론보다 미래에 대한 발전 가능성을 기대할 수 있다. 최근에 의학의 발달로 인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는 일란성 쌍둥이와 다란성 쌍둥이의 출생에 대비하여 시주간명법의 적극적인 활용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is a study on SijuGanmyungbeob. The SijuGanmyungbeob is a saju nomenclature method that can predict and judge the fate of identical twins differently. The saju of an ordinary person is predicted by Ilgan, but twins are two personalities born from the same parents on the same day, so they cannot enter the same place. Therefore, the saju of twins sees the siju as the subject. In other words, the twin brother and sister see time as a sieve, and the younger brother sees Siji as a sieve and predicts it. The way to apply Daewoon is to focus on Ungan for older brothers and sisters, and to apply Unji for younger brothers. The SijuGanmyungbeob is a theory that not only has a higher hit rate than that of other twin sages, but also allows analysing more than three polyplastic twins who have been born frequently in recent years, i.e., it is possible to extend the logic. And more than any other theory, we can expect the possibility of development in the future. I think it is necessary to actively use the SijuGanmyungbeob method in preparation for the birth of identical and polyplastic twins, which has been rapidly increasing due to the recent development of medicine.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