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로 입원한 환자에게 작성된 간호기록 양과 환자 중증도 간 관계를 파악하는 데 있다. 2020년 1월 1일부터 2022년 6월 30일까지 서울 소재 일개 상급종합병원 코로나19 전담 치료 병동에 입원한 환자 650명의 간호기록과 환자 중증도 분류 서식 내 데이터를 추출하였다. 재원 기간 내 작성된 표준간호진술문의 총 개수와 간호기록 횟수를 재원일수로 나누어 하루 평균 간호진술문 개수와 간호기록 횟수를 산출하였고, 재원 기간 내 환자의 평균 중증도 점수와의 관계를 피어슨 상관계수를 통해 파악하였다. 중증도 그룹 간 간호진술문 개수 및 간호기록 횟수 차이는 Tukey’s HSD 검정을 통해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코로나19 환자의 간호진술문 양과 환자 중증도 점수 간에는 비교적 높은 상관관계(r=0.47), 간호기록의 횟수와 환자 중증도 점수 간에는 낮은 상관관계(r=0.37)가 있었다. 중증도 그룹별로, 3군과 4군에서 간호진술문 개수 및 간호기록 횟수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특히, ‘호흡’관련 문제를 나타내는 진술문이 3군보다 4군에서 많이 작성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가 간호기록 양과 환자 중증도 간 관련성을 보임으로써 코로나19 환자의 결과를 예측하는데 간호기록의 활용 가능성을 기대해본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mount of nursing records and acuity level in COVID-19 patients. Nursing records and acuity level data of 650 COVID-19 patients were extracted from the clinical data warehouse of a tertiary general hospital in South Korea. Average numbers were obtained by dividing the daily total number of nursing statements and the frequency of nursing documentation by the length of stay. Subsequently,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average numbers and the patient’s acuity score were identified by applying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 relatively high correlation (r=0.47) was obtained between the number of nursing statements and acuity scores, whereas the frequency of nursing documentation and acuity scores had a low correlation (r=0.37). In particula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number of nursing statements and the frequency of nursing documentation between acuity levels 3 and 4. We further determined that nursing statements representing 'respiratory problem' were recorded more in acuity level 4 than in level 3. This study show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amount of nursing records and patient acuity level. Our results indicate the probability of using nursing records to predict the outcomes of patients with COVID-19.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