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초창기 조선어 발성영화의 존재 조건과 매개변수로서의 관객 : <미몽>(1936)에 나타난 시청각 이미지의 양상을 중심으로 (The Existence Conditions of the Early Korean Talkie and the Audience as Parameters : Mainly about the Audio-visual Image Appeared in Mimong(1936))

4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0 최종저작일 2019.12
47P 미리보기
초창기 조선어 발성영화의 존재 조건과 매개변수로서의 관객 : &lt;미몽&gt;(1936)에 나타난 시청각 이미지의 양상을 중심으로
  •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건국대학교 GLOCAL(글로컬)캠퍼스 스토리앤이미지텔링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스토리앤이미지텔링 / 18호 / 63 ~ 109페이지
    · 저자명 : 이광욱

    초록

    <미몽>은 현재 전해지는 가장 오래된 한국 발성영화이며, 다양한 각도에서 해석되어 온 텍스트이다. 본고는 <미몽>의 해석적 다층성에 주목하면서 어느 하나의 단선적인 의미로 독해되지 않는 복잡미묘한 성격 자체가 작품의 본질에 가깝다는 점을 강조하고자 했다. 그리고 이와 같은 해석의 다층성이 발생되게 된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조선어 발성영화의 제작을 둘러싼 문화환경의 변화에 착목하는 가운데, 경성촬영소가 구상하고자 했던 내포관객의 성격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고 보았다. 즉, ‘조선적인 것’을 주요한 흥행전략으로 삼아 왔던 기존의 조선영화와는 달리 민족 또는 성차가 소거된 최대 다수의 내포관객을 겨냥하고자 한 것이 <미몽>의 기획이었다는 것이다. 더욱이 <미몽>은 단단하게 짜여진 텍스트 구조를 지향하기보다는 당대의 컨텍스트가 틈입할 수 있는 공간을 충분히 열어놓으면서 관객들 스스로 나름의 텍스트를 구성할 수 있게 만들어 준 작품이었다. 본고는 무용가 조택원이라는 당대의 문화적 아이콘이 영화에 개입하는 양상이나, 주연배우 문예봉을 둘러싼 당대의 평판이 영화의 해석에 반영될 수 있는 지점들을 살펴보고자 했다. 또한 <미몽>은 연속편집의 방법론을 주조로 하면서도 이를 위반하는 장면 역시 적지 않게 만들어내면서 ‘초월적 주체’로서 관객이 차지하는 지위를 지속적으로 위협하고 있다. 다시 말해 <미몽>은 관객들의 욕망이 머물 수 있도록 빈 자리를 제공하는 영화인 동시에, 그 욕망의 다층성이 하나의 서사로 귀결될 수 없음을 암시하고 있던 영화였다.

    영어초록

    Mimong is the oldest Korean talkie passed on today. While paying attention to the analytical multilayered nature of Mimong, I wanted to emphasize that the complexities of itself, which are not read in any single sense, are close to the essence of the work. And in order to find out the cause of such a multi-layered interpretation, we should take into account the nature of the implied audience that Gyeongseong studio was trying to envision, while we were engrossed in the cultural environment surrounding the production of the Korean talkie. In other words, it was Mimong's plan that aimed to target the largest number of audience whose ethnic or gender differences were wiped out, unlike previous Chosun movies that used 'particularity of Chosun culture' as their main box office strategy. Furthermore, Mimong was a work that allowed the audience to organize their own text while leaving enough space for the context of the time to squeeze in, rather than moving toward a tightly-knit text structure. I wanted to look at the way the contemporary cultural icon Cho Taek-won, a dancer, intervened in the film, and the points where the contemporary reputation surrounding leading actor Moon Ye-bong could be reflected in the film's interpretation. Mimong also continues to threaten the audience's status as a "transcendental subject" by creating a number of scenes that are based on the methodology of the continuity cutting but also violate it. In other words, Mimong was a film that offered an empty seat for the audience's desire to stay, while suggesting that the multi-layered nature of the desire could not result in a single narrativ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4월 21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