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품이나 브랜드의 의인화는 소비자의 충동구매에 단기적으로 긍정적인 효과가 있지만, 의인화된 쾌락제품에서 소비자가 의식하는 장기목적은 갈등을 유발하고, 충동구매의도 형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본 연구는 의인화된 쾌락제품에서 파트너 역할지각이 사회적 제휴욕망을 자극하여 충동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과정을 탐색하고, 또 장기목적의식이 자아통제를 자극하여 충동구매의도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연구하였다.
초콜릿을 실험자극으로 선택하고 실증연구를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의인화된 쾌락제품에서 지각된 파트너 의식은 사회적 제휴 욕망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또한 사회적 제휴 욕망은 접근-회피 갈등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둘째, 장기목적의 의식은 자아통제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자아통제성은 접근-회피갈등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마지막으로, 사회적 제휴 욕망은 충동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지만, 자아통제성은 충동구매의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 그러나 접근-회피 갈등은 충동구매의도에 영향을 주지 않은 것으로 탐색되었다.
영어초록
The present study placed focus on perception of partner roles and awareness of long-term goals at anthropomorphous hedonic products to examine approach-avoidance conflicts and impulsive buying intention, and found the results as followings.
First, partner roles could excercise positive influence upon social alliance desire; second, perception of long-term goals could affect self-control positively; third, social alliance desire could exert positive impact upon approach-avoidance conflicts; fourth, self-control could affect approach-avoidance conflicts positively; fifth, social alliance desire would have positive influence upon impulsive buying intention; and sixth, self-control might have negative effect upon the intention.
The results could contribute toward progress of anthropomorphism and self-control theory by confirming the effects of consumers' awareness of partner roles with anthropomorphous hedonic products on their social alliance desire, exercising positive effects upon the intention, and by exploring the positive effects of the awareness of long-term goals on self-control which in turn could have negative effect upon the intention.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