四象體質分類檢査紙(QSCC)II의 標準化 硏究 - 각 체질집단의 군집별 Profile 분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tandardization of QSCCII (Questionnaire for the Sasang Constitution Classification II))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본 연구의 목적은 통계적 문항 분석을 통하여 새로 개발된 사상체질분류검사지(QSCC)II의 네가지 척도를 각 계층별로 표준화하여 그 진단 정확율을 알아 봄으로써 객관적인 사상 체질 분류의 검사 방법을 만드는데 있다. 사상체질분류검사지(QSCC)II는 전국에서 각 계층별(연령, 성별, 생활 수준별)로 고르게 수집된 1366명의 피검자의 답안을 표준화 자료로 삼았다. 진단 정확율을 알아보기 위한 준거 집단으로는 경희대학교 한방병원 사상의학과 외래 환자 및 동서건진센타 내원객 26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PC+ V. 4.0 Program으로 내적 일치도, 변량 분석(ANOVA), 사후검정(Duncan test) 및 판별분석을 하여 통계처리하였다. 위와 같은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각 체질별 척도의 내적 일치도는 0.5708 ~ 0.6319로서 설문지 구성에 체격과 체형을 포함한 다양한 요인이 추가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2) 검사지의 각 척도는 변양분석 결과 체질별로 유의한 차이가 있으므로 검사지의 문항은 진단변별력이 인정되는 문항들로 구성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3) 검사지의 응답방향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가지 변인 가운데 연령 성별 그리고 문항수 등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본 연구에서는 이상의 변인을 고려한 규준(Norms)을 표준화 자료로 제시함으로써 검사지에 의한 체질진단의 객관적 지표를 마련하였다. 5) 검사지는 연령과 성별에 관계없이 고르게 적용시킬 수 있다. 6) 검사지에서 새로 구성된 척도들로 판별분석을 한 결과 평균 판별정확율은 70.08%였다. 이 결과는 QSCC의 타당화 연구에서 보인 평균 판별정확율 55.56%애 비하면 비교적 높은 분류정확율을 보이는 것이라고 사료된다. 7) 검사지의 네 가지 척도들은 이전의 검사지에 비하여 고르게 체질진단에 기여함을 알 수 있었다. 8) 검사지는 분석결과 이전의 검사지들 보다 사상체질 진단에서 정확율 향상, 차별화된 계층별 체질 진단 방법의 제시에 의한 객관성 확보 등의 문제점을 개선 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새로 개발되어 표준화된 QSCCII는 다소의 제한은 있으나 임상 상담 및 실험연구에서 체질 진단을 할 때 객관적인 체질진단 도구로서 이용 가치가 인정되며 사상체질분류의 객관기준으로서도 그 가치가 인정된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and standardize the four scales of Questionnaire for the Sasang Constitution ClassificationII (QSCCII). QSCCII is newly prepared by statistical item analysis and is designed to examine its diagnostic discriminability. QSCCII is administered to 1366 random informants. From the survey, we could get the data for the standardization. The criteria of standardization are based on the data from 265 informants who are examined by professionals. Collected data are analyzed by internal consistency, variation analysis(ANOVA), Duncan test and discrimination analysis of SPSS PC+ V4.0 program.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reliability of four scales for QSCCII is relatively valid. The internal consistency of Tae-yang(太陽) scale is Cronbach's α = 0.5708 . That of So-yang(少陽) scale is α = 0.5708 . That of Tae-eum(太陰) scale is α = 0.5922 . That of So-eum(少陰) scale is α = 0.6319 . 2)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ach group through variation analysis of four scales. 3) The process of standardization is based on the average value and standard deviation with respect to age and sex difference of each criteria. 4) This study suggests a source of standardization of Sasang Constitution Classification by providing norms in which the differences of age, sex, and number of items are taken into deep consideration. QSCCII, therefore, can be applied to every age(the 10's to the 60's) and sex groups. 5) The recalculation of the raw-score to standard value (T-score) shows that the diagnostic discriminability (Hit-ratio : 70.08%) of QSCCII brings about 37% improvement than proportional chance criteria(33.33%). Especially, Hit-ratios of Tae-eum In(74.5%) and So-eum In(70.8%) are higher than that of So-yang In(60.0%). 6) QSCC has discriminability only to male informants. Compared with QSCC, however, QSCCII has relatively efficient discriminability both to male and female informants. 7) These results would be a demonstration of the fact that the QSCCII could be used as a tool for sasang constitution classification.
참고자료
· 없음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1. 해피캠퍼스 오른쪽 상단 [내계정 > 다운가능자료]를 누르면 [구매자료] 페이지로 이동되어 자료를 다운로드 하실 수 있습니다. 자료의 열람 및 다운로드 가능 기간은 구매일로부터 7일입니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