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5 수지 중수골 골절에서 평행 핀 또는 플레이트 고정술 이후 골절각 변화에 대한 비교 연구 (Comparative Analysis of Fracture Angulation between Parallel Pinning and Plate Fixation Techniques in the Management of 5th Metacarpal Fracture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 발행기관 : 대한수부외과학회
· 수록지 정보 : Archives of Hand and Microsurgery / 23권 / 4호 / 230 ~ 238페이지
· 저자명 : 이명철, 신효정, 최현곤, 김지남, 신동혁
초록
목적: 중수골 골절에서 시행되는 두 가지 수술 방법; 즉, 폐쇄적 정복술 및 평행핀 외고정술, 개방적 정복술 및 플레이트 내고정술 시행 이후 골절각의 변화를 수술 직후 및 추적 관찰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방법: 2008년 4월부터 2018년 1월까지 수부 단일 중수골 골절에 대해 수술적 처치를 받은 4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관절 외 중수골 골절에서 폐쇄적 정복술 및 가로 방향 평행 핀 외고정술(그룹 1) 또는 개방적 정복술 및 플레이트 내고정술(그룹 2)을 진행하고, 수술 전후 및 추시 후 수부 방사선 비스듬영상에서 골절각을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두 그룹 모두 정복술 진행 후 유의한 골절각 교정 결과를 보였다. 그룹 1의 경우 수술 후 3-4주에 능동적 운동을 시작하였으며, 골절각 재발 소견이 다소 나타났다(그룹 1: 수술 직후 골절각 20°±7°, 추시 후 골절각 24°±10°, p<0.05). 반면에 그룹 2는 수술 후 2주에 운동 진행 이후에도 정복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였다(그룹 2: 수술 직후 골절각 19°±5°, 추시 후 골절각 18°±6°).
결론: 관절 외 단일 중수골 골절에서 폐쇄적 정복술 및 평행 핀 외고정술과 개방적 정복술 및 플레이트 내고정술 모두 골절에 의한 각형성을 유의하게 교정할 수 있는 유용한 수술 방법이다. 폐쇄적 정복술 및 평행 핀 외고정술 이후 3-4주에 손 운동을 시작할 경우 골절 부위에 과도한 운동 또는 외부 자극에 의한 저항이 가해지면 유합 진행을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주의 깊은 경과 관찰을 요하며, 골절 상태에 따라 적절한 수술 방법을 계획해야 한다.
영어초록
Purpose: Metacarpal fractures are common injuries of the hand. They are treated using closed reduction (CR) or open reduction (OR) techniques. The management strategy depends on fracture site characteristic and fixation methods. In this study, we evaluated pre- and postoperative fracture angulation, when metacarpal fractures bad been treated using two dif-ferent techniques: CR with parallel transverse pinning and OR with plate fixation.
Methods: Forty-six patients undergoing anatomic reduction to treat extra-articular metacarpal fractures were recruited. They were included in one of two therapeutic groups: Group 1, CR with parallel transverse pinning (n=21); Group 2, OR with plate fixation (n=25). Fracture angulation values have been measured on pre- and postoperative radiologic images. Values were compared between pre- and postoperative states, and between corresponding measurements of each group.
Results: All extra-articular metacarpal fractures were successfully treated without wound related complications or the limit of joint motion. Both groups demonstrated adequate reduction at immediate postoperative period (postoperative angulation of group 1, 20°±7°; group 2, 19°±5°). During the observation at follow-up period, Group 1 exhibited slight recurrence (follow-up angulation of group 1, 24°±10°). Nonetheless, Group 2 showed adequate reduction state in both immediate postoperative and long-term follow-up periods (follow-up angulation of group 2, 18°±6°).
Conclusion: Extra-articular metacarpal fractures were successfully restored without functional complications. CR with parallel transverse pinning method exhibited recurrence after pin removal, which necessitates cautious postoperative ex-ercise and monitoring.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Archives of Hand and Microsurgery”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