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상형 공동주택의 인동간격 및 배치 방위각이 일조·옥외열환경에 미치는 영향 분석 (Analysis of the Effects of Distance between Buildings and Orientation of Plate-Type Apartment Buildings on Sunlight Exposure and External Surface Temperatur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경제성장에 따른 대도시의 인구집중으로 공동주택 수요가 급증하게되며, 고밀·고층화 추세를 보이게된다. 이로 인하여 열악한 일조환경 및 인공피복율의 증대로 도시 미기후는 점차 악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쾌적한 주거환경 및 도시 미기후 개선을 위해서는 공동주택 단지계획시 일조환경 및 옥외열환경을 고려한 설계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공동주택의 설계 프로세스 단계에서 일조환경 및 옥외열환경을 고려한 배치계획을 함으로서 쾌적한 주거환경으로 에너지 절약 및 도시 미기후 개선을 통한 열섬현상 완화 등을 도모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공동주택의 배치계획 주요인자인 인동간격 및 배치 방위각 변화에 따라 주거단지의 일조환경 및 옥외열환경을 예측함과 최적의 인동간격 및 배치 방위각을 선별하여 공동주택 주거단지의 초기 설계계획시 기초 자료로 활용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일조환경 결과로 주거동의 인동간격이 증가할수록 일조 미확보율은 감소한다(인동간격 0.8H에서 1.2H). 또한 배치 방위각은 ESE, WSW에서 일조 미확보율이 낮게 분포하고 있다.
열환경 결과에서 첫 번째, 전 건물표면온도 평균치는 인동간격이 증가할수록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평균치가 약 0.6℃ 정도 차이를 보이고 있다. 배치 방위각 SE, ESE에서 전 건물표면온도가 낮게 분포하고 있다. 두 번째, MRT 평균값은 인동간격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세 번째, 열섬잠재성은 인동간격이 증가할수록 높게 나타나고 있다. 평균치가 1.0℃ 정도 차이를 보이고 있다. 배치 방위각 SE, ESE에서 열섬잠재성 분포가 낮게 나타나고 있다.
영어초록
Economic growths lead to population increases in large cities. This has brought about the growing necessity for apartment housing which has resulted in higher density populations living in high-rise apartment complexes. Therefore, the urban microclimate is aggravated due to the increasing ratio of artificial coverage and substandard daylight availability. It is important for an apartment to get an adequate amount of sunlight and have a pleasant external surface temperature for the comfort of the occupants. To achieve this, sunlight exposure and external surface temperature must be carefully considered when planning an apartment complex. This study conducts a numerical simulation of the role of major factors when planning an apartment building block with regard to sunlight exposure and external surface tempera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basic reference source for the design and planning of apartment complexes. This study selected the orientation of and distance between buildings the buildings, two important factors in apartment block planning, and evaluated their effects on sunlight exposure and external surface temperature of plate-type apartments. For sunlight exposure, we took the measurements of each house in accordance with the ordinances and rules under the Building Act. For external surface temperature, we conducted a 3D surface temperature simulation and derived the surface temperature, the Mean Radiant Temperature(MRT), and Heat Island Potential(HIP) for the entire building. For sunlight exposure, we used the winter solstice as a reference point and found that as the distance between buildings the buildings increased, the sunlight exposure increased. The ESE and WSW orientations correlated with high sunlight exposur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rmal environment, first, the average of the whole building surface temperature is shown to be higher as the pitch of building increases. And a difference of approximately 0.6℃ was shown on the average. Low temperature of the whole building surface is distributed in azimuth SE, ESE. Second, it is shown that average MRT tends to decrease as the pitch of building increases. Third, it is shown that heat island potential is higher as the pitch of building increases. A difference is shown to be approximately 1.0℃ on the average. It is shown that the low heat island potential is distributed in azimuth ESE.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