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藏書閣 所藏『璿源系譜記略』의 書誌的인 硏究 (A Bibliographic Study on Seonwon-gyebo-giryak(璿源系譜紀略) in Jangseogak)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0 최종저작일 2007.06
34P 미리보기
藏書閣 所藏『璿源系譜記略』의 書誌的인 硏究
  •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藏書閣 / 17호 / 5 ~ 38페이지
    · 저자명 : 안미경

    초록

    이 논문은 장서각에 소장되어 있는 선원계보기략에 대한 異本을 조사한 것이다. 장서각에 소장된 선원계보기략은 동일한 서명을 가진 서로 다른 판본들이 뒤섞어 한 질로 묶여져 있는 경우가 많다. 이것은 이 책들이 오랜 기간 동안 여러 소장처를 전전하면서 이동하는 과정에서 서로 다른 판본이 뒤섞인 채 목록이 작성되었기 때문에 초래된 것이다.
    선원계보기략의 이본조사 결과 중 특징적인 것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2권 1책본은 숙종 5년 初刊本과 숙종 7년의 重校 補刊本이 조사되었는데, 편집체재가 다르기 때문에 그 식별이 매우 쉬운 편이다. 6권 4책본은 영조 1년(1725)본부터 권 책수에 변화가 생기는데 기존 5권 4책에서 1권이 늘어나 6권 4책으로 간인되었다. 이러한 이유는 列聖系序圖에서 ‘현종·숙종·경종’ 다음에 행을 바꾸어 ‘主上殿下萬萬歲’로 늘렸기 때문이다.
    18권 8책본은 기존 7책본에서 8책본으로 전환하면서 편찬 체재상 변화를 보인다. 본문의 한 면을 5단에서 6단으로 늘려 맨 위의 단에는 왕을 기재하였다. 21권 8책본부터는 편집체재가 크게 변화한다. 1783년(정조 7)부터 정조가 친히 서문을 지어 권수에 붙이고 범례는 10항으로 고정시키는 대신 총서에서 변동되는 모든 사항을 기재하도록 하였다.
    26권 8책인 광무 2년본을 보면 대한 제국의 稱帝 建元에 따라 追崇한 諸帝의 칭호도 달라지고, 특히 卷首題가 태조대왕, 태조고황제, 목조대왕 등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異本을 식별하는 데 용이하다. 27권 8책본은 이왕직이 1933년(소화 7) 4월부터 수정하기 시작하여 1933년(소화 8) 3월 31일에 완료한 것으로 선원계보기략의 마지막 판본이다.

    영어초록

    This thesis investigated into the variants of the book Seonwon-gyebo-giryak(璿源系譜紀略) in Jangseogak.
    In many cases, for the book, different block books with an identical signature were mixed up and bound into one set. It resulted from a list made with different block books mixed up in the process where these books had moved passing for a long time from place where they were possessed to place where they were possessed.
    What are characteristic among the findings of an investigation into the variants of the book are summarized as follows.
    For a two-volume book, the first book in the fifth year of Sukjong and the corrected complementary book in the seventh year of Sukjong which I investigated into are very easy to discern because of different editing systems. For four six-volume books, they were changed in the number of volumes and books from the book in the first year of Youngjo(1725). They stemmed from the existing four five-volume books which increased by a volume. It was because in the painting Yulsunggyesudo the phrase 'Hyunjong, Sukjong and Gyungjong' was increased by the phrase 'Jusangjunhamanmanse', which means Hurrah for the King!, in the next line.
    Eight eighteen-volume books had their editing system changed in the conversion from the existing seven books to eight. One page of the body with five columns increased by one column, among which a top column had kings recorded. Editing systems greatly changed from eight twenty-one-volume books. From 1783(the seventh year of Jungjo), Jungjo wrote a preface in person and attached it to the beginning of a book, and ordered subjects to write all things that were changed in a collection of books instead of limiting introductory remarks to ten.
    For the books in the second year of Gwangmu, eight twenty-six-volume books, as a would-be emperor named an era in the Korean Empire, the titles of all kings who did not accede to the throne changed and, in particular, the titles in the beginnings of the books ranged from Taejo the Great through Taejo High Emperor to Mokjo the Great, which makes it easy to distinguish between variants. The eight twenty-seven-volume books which Iwangjik(the government office in charge of Joseon royal household) began to correct from April 1933(the seventh year of Sohwa) and finished correcting on March 31 1933(the eighth year of Sohwa) were the final block books of the book Seonwon-gyebo-giryak.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4월 19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5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