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奎章閣所藏冊板의 내용과 소장처 분석 (A study on the contents and storage of woodblocks in the Kyujanggak)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08 최종저작일 2014.06
31P 미리보기
奎章閣所藏冊板의 내용과 소장처 분석
  •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태동고전연구 / 32권 / 239 ~ 269페이지
    · 저자명 : 김윤제

    초록

    규장각에는 조선후기에 제작된 책판 104종 17,828장이 소장되어 있다. 사부(四部)로 분류하면 경부(經部) 54종 12,119장, 사부(史部) 21종 3,902장, 자부(子部) 17종 1,143장, 집부(集部) 12종 664장이다.
    조선후기 대표적인 사서삼경 책판으로는 내각장판(內閣藏板), 영영장판(嶺營藏板), 영변부책판(寧邊府冊板)을 꼽을 수 있는데, 현재 규장각에는 이들 책판이 각 1질씩 모두 3질 남아있다. 이를 통해 19세기 전반 사서삼경 간행사업이 활발하게 진행된 사실과 주희(朱熹) 중심의 독서를 통한 성리학 편중 등 조선 후기 사상계의 면모를 확인할 수 있다.
    춘방장판(春坊藏板)은 19세기 후반 세자 교육을 담당한 시강원에서 강학용 학습서까지 제작했다는 사실과 그 교재의 내용 등 시강원의 서적 출판기능에 대한 단서를 제공한다. 교서관책판(校書館冊板)은 18세기 후반 영조 어제류 간행 대상과 책판 보관처 등 어제류 관리에 대한 직접적인 정보 외에도 어제류 제작의 배경과 활용 등 그 정치적 의미를 파악하는데 도움을 준다. 결국 이를 통해 당시 책판 제작의 목적이 국왕관련자료의 현창 보급뿐 아니라 세자 교육이나 왕권 강화 등 통치수단으로까지 확대되어 활용되는 면모를 확인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e Kyujanggak has 104 kinds of 17,828 printing woodblocks engraved in the late Choson Dynasty. By their type, the woodblocks are assorted into 4 groups(四部)-54 kinds of 12,119 for Gyeongbu(經部), 21 kinds of 3,902 for Sabu(史部), 17 kinds of 1,143 for Jabu(子部), and 12 kinds of 664 for Jipbu(集部).
    Among those woodblocks, Negakjangpan(內閣藏板), Youngyoungjangpan(嶺營藏板), and Youngbyunbu woodblocks(寧邊府冊板) are representatives of the Three Confucian Classics(三經) and the Four Books(四書) in the late Choson Dynasty, and The Kyujanggak has one set for each, three sets in total. What this shows is that the publication of the Three Confucian Classics(三經) and the Four Books(四書) in the early 19th century was quite active and that the realm of ideas was limited to the Neo-Confucianism, which emphasizes the reading based on the explanations of Zhu Xi(朱熹).
    And Chunbangjangpan(春坊藏板) let us know the fact that Sikangwon(侍講院), which was responsible for education of crown prince, produced educational books as well. The contents of the book is for education of crown prince and it provides us a clue to the publishing function of Sikangwon(侍講院). Also, Gyoseogwan woodblocks(校書館冊板) gives us a direct information with regard to the management of King Youngjo’s Eojae(英祖 御製), such as the target of its publication and the storage place of its woodblocks in the late 18th century. Furthermore, it helps us to figure out its political significance by its background in production and use. In the end, we can see that the purpose of producing woodblocks at that time was not only limited to the supply of dossiers on king but also extended to the means of ruling, such as the education of crown prince and strengthening of royal author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4월 22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4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