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초월적 자각과 깨달음(覺) - 칸트철학과 불교사상을 중심으로 - (Transcendental Apperception and Enlightenment(覺) - On Kantianism and Buddhism -)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08 최종저작일 2011.12
26P 미리보기
초월적 자각과 깨달음(覺) - 칸트철학과 불교사상을 중심으로 -
  •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동서철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서철학연구 / 62호 / 145 ~ 170페이지
    · 저자명 : 강성률

    초록

    칸트에 의하면, 외적 사물에 대한 인식은 우리 자신의 내적 자발성에서 유래한다. 이것은 결국 깨달음이라는 인식의 태도가 일종의 자기 인식에 대한 스스로의 확인이라는 점에서 불교에서 말하는 깨달음의 개념과 거의 동일하다고 볼 수 있다. 본고는 이러한 관점에서 칸트가 말하는 초월적 자각과 불교에서 주장하는 깨달음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먼저 판단하는 능력으로서의 지성이 우리 가운데 존재한다는 사실은 우리 인간에게 선천적인 자발성이 있음을 인정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런데 이 지성은 판단하는 능력이며, 이러한 지성에 의해 의식의 통일이 있어야만 모든 인식들이 우리에게 성립할 수 있다. 바로 이 순수하고 근원적이며 불변적인 의식을 칸트는 초월적 자각이라 불렀다.
    여기에서 지성에 관하여 모든 직관을 가능케 하는 최상원칙이란 직관의 모든 다양이 자각의 근원적, 종합적 통일이라는 조건에 따른다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우리가 현실에서 경험하는 모든 외적 대상 혹은 내적인 의식의 흐름까지도 오성이 그 근원이 되는 자각 작용 없이는 전혀 불가능하다는 것이 된다. 여기에서 이른바 초월적 자각이 없고서는 사유 자체가 불가능하다는 결론이 나온다. 왜냐하면 주어진 표상들이 내가 생각한다 라는 자각의 작용을 통유(通有)하지 않으면 하나의 자기의식 속에 총괄되어 있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불교의 최상 목표는 보리 또는 각(覺, 깨달음)을 얻는 것이다. 깨달음이야말로 불교의 궁극적 목표이자 최고의 이상적 단계이다. 그렇다면 과연 칸트가 말한 초월적 자각과 불교에서 말하는 깨달음과는 어떤 관계에 있는가?불교에서 사문들이 수많은 고통과 번잡함을 인내하며, 외적인 간섭과 제재를 감수하고서도 끝내 도달하고자 했던 궁극적 목표는 각자(覺者), 깨닫는 자가 되는 것이었다. 그러나 깨달음에 도달하는 데에는 보통 점오성불론(점차적으로 각 단계를 거쳐 부처에 이를 수 있다고 주장하는 이론)과 돈오성불론(어느 순간, 갑자기 부처의 경지에 도달할 수 있다는 것)이 있다. 성불이란 멀리 떨어져있는 두 바위 사이를 발딱 뛰어넘는 것처럼, 순간적으로 일어나야 한다는 것이 후자의 주장이다.
    칸트에 의하면, 직관에 의하여 주어진 다양이 결합되어서 하나의 대상을 표상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다양이 선험적 통각 밑에로 넣어져서 통일되어짐으로써만 가능하다고 보았다. 이렇게 본다면, 초월적 자각은 모든 가능한 직관의 다양에 종합적 통일의 원리를 주는 것이 된다. 그리고 사물에 대한 최종적이고 근원적인 인식이란 결국 우리 자신의 내적 자발성에서 유래하는 바, 이것은 결국 깨달음이라는 인식의 태도가 일종의 자기 인식에 대한 스스로의 확인이라는 점에서 불교에서 말하는 깨달음의 개념과 거의 동일하다고 말할 수 있다. 나아가 깨달음에는 또한 가치의 판단이 개입되어 있게 마련이다. 즉, 불교에 있어서 깨달음의 의미는 그 내용이 진리 또는 진실이라고 포괄적으로 표현될 때이다. 이렇게 본다면 결국 깨달음이라고 하는 것은 ‘진리를 깨우쳤음을 스스로 의식하는 일’이 되겠다.
    결국 칸트에서의 초월적 자각이 모든 인식의 근원이었다면, 불교에서 말하는 깨달음이란 해탈과 열반의 경지에 이르는 것이고 결국 그것은 불교의 최고 정점, 부처(깨달은 자, 覺者)가 되는 길이었다.

    영어초록

    According to Immanuel Kant, human perception on the external matter is derived from internal spontaneity. It is similar to Enlightenment in Buddhism in a way that the attitude towards perception of Enlightenment is a sort of a self-confirmation on self-perception. In this regard, transcendental apperception and Enlightenment in Buddhism are going to be discussed here.
    Above all, human understanding as a reasoning ability means that it should be admitted that a human being has an innate spontaneity. This human understanding is ability to reason and all perceptions can be made to a person with connection of consciences by human understanding. Kant called this pure, original and unchanged conscience as transcendental apperception.
    The most superior principle here to make all perceptions possible about human understanding is that every aspect of shape and method of an intuition is upon a certain condition that apperception is connected in original and comprehensive way. In other words, all external matter or even internal flow of conscience that a person experiences in real life cannot exist without its origin, apperception activity on human understanding. As a result, it can be said that thinking is impossible without so called transcendental apperception. Because the given ideas cannot be summarized inside one's conscience unless a common possession of the apperception activity as I think.
    The ultimate aim of Buddhism is to get Bodhi, the Supreme Enlightenment or wisdom (覺). Enlightenment is the final object and supreme and ideal step in Buddhism. Then what relations are between transcendental apperception of Kant and Enlightenment in Buddhism?Every Buddhist monk endures all the sufferings and complications, putting up with all external bother and restrictions against them to reach to the level of being the Enlightened One (覺者). However, there are two ways to become one: a gradual theory that you can be one by stepping each level and a sudden theory that you can be one at one day. The latter argues that the attaining Buddhahood should happen in a moment as you jump from one rock to another in a far distance.
    Kant saw that existence of an idea of an object with several shapes and methods combined that are given by an intuition can be only achieved by those combined being under the transcendental apperception. In this view, transcendental apperception provides the principle of comprehensive connection to every possible shape and method of an intuition. And the final and fundamental perception on things originates from innate spontaneity. So it can be said, after all, that it is almost the same to the concept of Enlightenment in Buddhism in a way that attitude towards perception as Enlightenment is kind of a self-confirmation on self-perception. Moreover, a value judgment is naturally involved in Enlightenment. That means the meaning of Enlightenment is in the moment itself when it is expressed as it is the truth in a comprehensive way. If so, Enlightenment is "self-sensing that one has realized the truth."Therefore, when transcendental apperception is the origin of every perception in Kantianism, the Enlightenment in Buddhism is becoming a certain level of nirvana, which is the way to the ultimate point of Buddhism, to become the enlightened one (Buddh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4월 20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