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연예인의 정치참여에 관하여 이미 사용되어 온 기능적 수량분석에서 한 걸음 나아가 보다 심층적이고 본질적인 의미에 접근하기 위하여 Q연구방법을 활용하여 연구하였다.
연구목적은 연예인의 정치참여에 관하여 대학생들의 수용 유형을 유형별로 분류해서 이들 간의 특성을 알아보고 향후 함의를 제시하는데 있다.
결과 내용은 크게 총 3가지의 유형으로 분류되었는데, 제1유형[(N=7):긍정적 추구형(Positive Pursuit Type)], 제2유형[(N=6):다각적 평가선호형(Diversified Evaluation -preference Type)], 제3유형[(N=4):냉소주의형(Political Apathy Type)]으로서, 각 유형마다 부분적으로 차별적 특성과 유사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과적으로, 그간의 연예인의 정치참여와 관련하여 대중의 사회적, 심리적 특성이나 라이프스타일 유형화 등을 중심으로 연구가 이루어져 왔고, 다양한 문화 수용과 평가에 따른 타겟별 대중의 유형화 작업은 다양하게 연구되지 못했다는 점에서 앞으로 많은 관련 연구의 개선과 함께 연예인의 정치참여에 대한 구체적인 이용자들의 인식 특성과 행태를 연결하여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다.
영어초록
This study was researched into practical method in a subjectivity study accessible in-depth, in sloughing off old habit of functional quantity analysis about Reception Type on Political Participation of Entertainer.
Main perception pattern analyzed in this study result were divided into three types by Q-methodology. The result is as follows ; it is that divided ‘1[(N=7): Positive Preference Type], 2[(N=6): Negative Evaluation Type], 3[(N=4): Political Apathy Type]’. Like this, each type seem to be different partially.
Hereafter, this paper is in ascertaining types of acceptance behavior about Reception Type on Political Participation of Entertainer. Also in future, we want to be studied into developmental research about Political Participation of Entertainer.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