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문화다원주의의 개념과 포스트모더니즘디자인과의 연관성 및 표현특성을 분석하고, 21C 포스트모더니즘디자인의 흐름을 모색하여 21C 사회와소비자의 요구와 필요성에 대응할 수 있는 이론적 디자인 컨텐츠(Theoretical Design Content) 개발에 필요한 체계적 디자인 학술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문화다원주의 개념 및 포스트모더니즘디자인 발생과의 연관성에 관한 학술보고서, 문화다원주의 기반 포스트모더니즘디자인 표현 경향 조사, 전문 학술지 등 자료 중심의 분석과, 인터넷을 이용한국내외 정보 D/B 및 네트워크 검색, 논문과 단행본을포함한 도서ㆍ출판물 등 문헌조사를 통한 고찰로 진행되어졌다.
본 연구의 주된 범위와 내용에는 문화다원주의의개념 및 문화다원주의를 기반으로 한 포스트모더니즘디자인의 발생배경과, 문화다원주의 기반 주요 포스트모더니즘디자인 표현 경향에 대한 분류와 제품디자인에 대한 사례 조사, 그리고 21C 포스트모더니즘 흐름에 반영된 문화다원주의 영향과 표현방식에 대한 분석 결과가 포함 되어 진다. 연구의 내용과 결과는 다음과 같다.
포스트모더니즘디자인은 다양성, 상징성, 장식성, 회화성, 암시, 역사주의, 복제된 이미지 등 다수의 양식을 하나의 제품에 혼합적용 시키려는 문화적 접근방식을 사용하고, 상징과 의미회복을 통하여 대중들이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제품의 형태를 제시하고자다국적ㆍ다문화ㆍ다계층적인 양식의 표현을 즐겨 차용함으로서 문화다원주의와의 연관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되어졌다.
포스트모더니즘디자인은 이러한 표현특성과 문화다원주의로부터 기인한 ‘미학으로서의 일상’, 나아가 ‘디자이너와 소비자와의 제품을 통한 감성적 커뮤니케이션’을 기반으로 21C에 이르러서 미학 지향 디자인과,환경파괴와 인간정신의 황폐화 극복에 초점을 둔 사회적 책임 지향의 디자인 양식들의 형성에 큰 영향을미치게 되며, 이는 디자이너들이 자신이 지향하는 디자인의 사회적 가치를 제품 메시지로 소비자들에게전달하는 형태로 발전하게 되어 향후 이러한 흐름은지속적인 진행ㆍ발전 되어 질 것으로 고찰 되었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aims to provide a systematicㆍacademical data for developing theoretical design content corresponding a necessity and demand by our society and consumer in 21C, through researching 21C post-modernism design trend, and analyzing the effect by concept of cultural pluralism on post-modernism design and characteristic of expression of post-modernism design.
The main method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the references such as the reports about the concept of cultural pluralism and its connectional origin of post-modernism design, papers about tendency of post-modernism design based on cultural pluralism,journals, and to review the data from internet D/B in domestic and abroad, and variety of literatures including thesis, books, periodicals and the other publications.
Main scopes and contents of this article are formed with a concept of cultural pluralism, a background on the outbreak of the post-modernism design based on cultural pluralism, a classification and case studies on the most important expression tendencies of postmodernism design by effecting cultural pluralism,and an analysis of main effective factors by cultural pluralism on 21C post-modernism design and their expression on the products.
As the main contents and results are as follows.
Connectional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pluralism and post-modernism design has been analyzed through symbolism and meaning recovery from the distinguishable expression by multi-nationalityㆍmulti-cultureㆍmulti-class on the product to make easier understanding for general public. And cultural approaching methods are commonly applied on post-modernism design such as utilizing various styles on the product with multi-valence,symbolism, ornamentation, picturesqueness, allusion,historicism, and copied imagery.
Aesthetic-oriented design, and socially-oriented design, which intends to overcome an ecocide and desolation of human spirit, in 21C came from the value of ‘emotional communication between consumer and designer through the product’ advanced from ‘elevating the ordinary’ on post-modernism design idea based on cultural pluralism.
Further sustainable development in design area is expected by the conveyed messages on the product from the designers who attempts to put their social-valued philosophy on it.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