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노트>여성의 행복과 성찰성, 정의감각 - 비판적 행복연구 방법론을 위한 제안 (Happiness of Women, Reflexivity, and Sense of Justice: A Critical Approach to Happiness Research Methodology)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심리학적 행복연구는 행복한가를 묻는 단순한 조사방법에서 탈피하여 행복에 대한 개념정의와 측정에 이르는 정교한 방법론을 발전시켰고, 그리하여 세간의 평가와는 달리 한국여성이 한국남성에 비해 전반적으로 덜 행복하다는 사실을 밝혀내는 데 성공하였다. 그러나 동시에 그것은 한국여성의 행복과 관련해 충분한 설명을 할 수 있을 만큼 여성의 현실에 밀착된 측정도구를 발전시키지는 못한 것으로 판단된다. 여성은 젠더와 관련된 상이한 의사소통적 지식에 기초해서 남성과는 다른 행위전략과 정의감각, 남성과는 다른 언어를 구사하기 때문에, 여성의 행복을 설명할 수 있기 위해서는 그러한 젠더이해에 기초한 성인지적 행복척도가 필요하다. 남성의 생활영역과 남성의 감수성을 중심에 둔 언어로 행복측정을 했을 경우 여성은 개인주의와 대립되는 관계중심 또는 공동체중심적인 특징을 갖는 것으로 설명되지만, 여성의 생활영역과 여성의 감수성을 반영할 경우 여성들은 오히려 개인주의적 특성과 공동체주의적 특성 양자를 ‘조합하는 방식’에서 남성과 다른 특성을 보인다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행복의 개별요인들 자체 보다 그것들의 구성에 중심을 두는 이러한 비판적, 성인지적 행복측정방법은 특히 ‘평등’과 ‘차이’라는 여성주의 딜레마를 반영함으로써 역설적으로 그것을 해결할 수 있는 방법론 개발을 위해 필요하다.
영어초록
Thanks to the theoretical definitions of happiness and the development of measuring scales, psychological researches on happiness have revealed that women are less happy than men in Korea. This result contradicts many survey results which are usually reported by mass communication. However, the psychological research methodology does not seem to be enough to explain which factors and which elements of happiness are involved in happiness and unhappiness of women. Usually, the gender stereotype that women are rather caring than individualistic in all areas of life is supported by the researches.
So I suggest that it is need a critical and a gender-sensitive approach to this research area. A critical approach means that we need to see an another side of the circulating stereotype, including the gender difference of caring and individualistic personality. For in some area, for example in a competitive education, women can be more individualistic than men, and vice versa, it seems depend on the areas and contexts of social interaction.
And for an critical approach, a gender-sensitive perspective can be helpful. So I suggest at first to dissolve the definitions of individualism and communitarism gender-sensitively into areas and contexts, and to find instead a gender-specific constellation of individualistic and communitarian elements. This approach can lead to a paradox of reflexivity or sense of justice, that is to say, to double possibilities of gender protest and gender conformity. And finally I suggest to develop a measuring scale of women's happiness which reflects on this paradox and uses a gender-sensitive language.
지식판매자의 자료는 는 매번 기대 이상의 정보를 제공합니다. 특히, 다양한 주제를 깊이 있게 다루고 있어 학습할 때 지루함을 느끼지 않습니다. 학업에 적용할 수 있는 유용한 팁들이 많아, 학습한 내용을 실제로 활용할 수 있어 매우 만족스럽습니다. 앞으로도 계속해서 이 지식판매자의 자료를 이용할 생각입니다!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1. 해피캠퍼스 오른쪽 상단 [내계정 > 다운가능자료]를 누르면 [구매자료] 페이지로 이동되어 자료를 다운로드 하실 수 있습니다. 자료의 열람 및 다운로드 가능 기간은 구매일로부터 7일입니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