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차량용 네비게이션 맵상의 POI(Point of Interest) 정보의 효율적인 제공을 위해 진행됐다. 운전자가 네비게이션 이용 시 느끼는 실제정보와 화면정보간의 인지적 차이(Gap)는 정확한 정보전달의 효과를 저해시키는 요소이다. 때문에 본 연구자는 이에 대한 개선 방안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우선 POI 정보를 평가하는데 적합한 방법을 도출하기 위해 평가요인과 기법간의 적합성에 대한 관계를 알아봄으로써 ‘사용자 관찰조사’와 ‘인터뷰조사’를 병행하는 방법을 선정할 수 있었다. 그리고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평가요인들을 가지고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POI에 대한 대표 평가요인으로 ‘정확성, 접근성, 직관성, 효율성’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실질적인 조사연구에 앞서 조사 대상브랜드를 선정하고, 차량용 네비게이션 사용자를 대상으로 사용자 관찰조사와 인터뷰조사를 실시하였다. 사용자 관찰조사의 경우 Task수행 후 작성된 관찰지를 토대로 사용자가 실제 정보를 인지하는 과정에서 느끼는 문제점과 요구를 파악할 수 있었다. 인터뷰 조사에서는 만족도와 중요도에 대한 조사결과를 비교분석함으로써 만족도와 중요도 결과의 차이에서 발생하는 결핍 부분을 도출하였다. 두 가지 조사결과를 종합하여 결핍 부분에 대한 원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결론적으로 위와 같은 조사 분석을 통해 POI정보에 대한 개선방안을 도출할 수 있었으며, POI정보의 위치, 양, 질로 구분하여 효율적인 정보제공을 위한 세부적인 방안을 제시하였다.
영어초록
This research studies the efficient service of the navigation map POI(Point of interest) information for vehicles. The cognitive difference between actuality information and screen information which the driver feels is the element to make correct information transmit effectively. So I wish to present improvement plan by this research.
First of all, I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stimation factor and technical adaptedness to find a suitable method in the POI information estimation. and through this, I drew user observations and interviews. And executed factor analysis for estimation factor that influence in The contentment. As a result, I drew accuracy, accessibility, immediacy, and efficiency for the representative estimation factor about POI research.
I executed the user observations and interviews to vehicle navigation user with decided representative estimation factor since. In the case of observations, I could find the problem and request that the user feels at the cognitive process. In the interviews, I find the cause and lack that come from the difference between satisfaction and importance, and drew improvement way.
Also in the improvement way part, I present the POI information's position, quantity, and quality with specific cases. This research has a meaning that presents a guide-line for efficient information transmission of navigation screen information, and it can be used as the basis for screen information design.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