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의 목적은 하이데거가 말하는 “존재론적 차이”의 본질 유래를 밝히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우리는 먼저 차이의 의미를 분석한다. 이때 분석(分析)한다는 것은 칸트적 의미에서 어떤 것을 그것의 본질 내지 근원에로 되돌려 주는 것을 말한다. 다음으로 우리는 또한 존재론의 의미도 나름대로 한정하고자 한다. 존재론이 존재에 대한 학문을 뜻하는 한, 그것은 “형이상-학”을 일컫는다. ‘자연 너머’에 대한 학문으로서의 “메타-피직”이 자연과 그 너머의 구별, 즉 존재자와 존재의 구별에 터하는 한, “형이상-학”의 본질을 밝혀내는 일은 존재론적 차이의 본질 유래를 해명하는 것과 같다.
나는 존재론적 차이의 종류를 밝히기 위해 선행적으로 플라톤과 헤겔의 존재론을 분석한다. 그로써 우리는 존재론적 차이가 근거의 관점에서 이해되어 왔다는 하이데거의 주장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나는 하이데거가 존재론적 차이의 본질 유래에 대한 이름으로 제시했던 “아우스트락(der Austrag)”의 의미를 풀이해 본다. 그 과정에서 “아우스트락”의 번역어 “내어나름”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새로운 옮김말 “날라내기”를 대안으로 제시해 본다.
영어초록
Der Zweck dieses Artikels liegt darin, um die Wesensherkunft von der ontologischen Differenz herauszufinden. Zu diesem Zweck müssen wir erst einmal analysieren die Bedeutung der Differenz. Das Analysieren besagt im Sinne von Kant das, etwas von der Quelle zu erklären, von der es herkommt. Weiter wollen wir auch begrenzen den Sinn der Ontologie. Die Ontologie als die Wissenschaft vom Sein ist von der Strutur der Onto-Theo-Logik(Metaphysik) charakteriesiert. Um zu erklären den Ursprung der ontologischen Differenz will ich fragen nach das Wesen der Metaphysik.
Ich analysiere die Ontologie von Platon und Hegel, um die Art der ontologischen Differenz zu unterscheiden. So können Wir verstehen besser die Behauptung von Heidegger, daß die ontologischen Differenz wird im Hinblick auf den Grund(Logos) verstanden. Ich interpretiere den Austrag, den Heidegger den Namen der Wesensherkunft von der ontologischen Differenz heißt. Schließlich denke Ich das Problem der koreanischen Übersetzung von den Austrag.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