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러시아에서 최초로 번역·출판된 『한국설화』의 성격과 특징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Folktales which was first translated and published in Russia)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03 최종저작일 2008.11
37P 미리보기
러시아에서 최초로 번역·출판된 『한국설화』의 성격과 특징
  •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민속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민속학 / 48권 / 261 ~ 297페이지
    · 저자명 : 전성희

    초록

    러시아 작가 가린-미하일로프스키는 1898년 한반도에 찾아와 북쪽 지방의 설화를 채록하였고, 그가 번역한『한국 설화』는 1904년에 러시아에서 출판되었다. 한국 설화집으로서는 러시아에서 최초로 번역, 출판된 이 책은 향후 러시아에서 뿐만 아니라 기타 유럽 지역에서의 한국 설화 번역, 출판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그 당시 한국을 방문한 많은 다른 러시아인들과 달리, 가린은 한국과 한국인을 이해하려고 부단히 노력했다. 그는 구비문학자가 아니었음에도 불구하고, 설화를 이야기 제보자들로부터 들은 그대로 옮기고자 애썼다.
    가린이 쓴 『한국 설화』에는 64편의 작품들이 담겨 있으며, 이 중에는 기존에 한국에서 발굴된 이야기들의 변이형과, 아직 한국에서 발견 되지 않은 이야기들이 포함되어 있다. 텍스트가 19세기 말에 구전되던 형태라는 데에 『한국 설화』의 연구사적 가치가 있다.
    아쉬운 점이 있다면, 그가 한국어를 몰랐기 때문에 통역자를 통해 채록이 이루어졌다는 사실이다. 하지만 비록 통역자를 통한 기록이었지만, 그가 제보자의 한 마디 한 마디를 있는 그대로 기록하려 애쓴 흔적은 곳곳에서 발견할 수 있다. 그는 지명은 물론, 필요한 경우 한국어 어휘들과 방언까지도 그대로 기술하고 있다. 또한 그가 작가라고 해서 이야기들을 문학적으로 그럴 듯하게 윤색하지도 않았기 때문에 그만큼 더 자료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가린이 기록한 기행문과 설화들은 부분적으로나마 이른 시기부터 한국에 소개되어왔지만, 아직까지도 그 내용들이 본격적인 연구 자료로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 러시아어 텍스트 읽기가 걸림돌의 하나라는 이유도 있겠지만, 궁극적으로 이러한 현상은 한국에서의 러시아어문학 연구 동향과도 무관하지 않다고 본다. 최근 들어 그 연구 영역이 전에 비해 상당히 확장되고 있기는 하지만, 아직도 다루어지지 않은 분야가 상당수 남아 있는 실정이다.
    특히 러시아 민속학, 그 중에서도 구비문학과 관련된 본격적 연구 실적이 전무하다고 말할 수 있다. 균형 잡힌 학문 연구를 위해서, 그리고 좀 더 근원적인 양국 문화비교를 위해서 관련 연구자들의 연구 영역 확장이 절실하다. 또한 한국 설화 연구 성과들을 국제적으로 알리려는 한국 구비문학자들의 시도 또한 다양한 각도에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The Russian writer Garin-Mikhailovskii visited the Korean Peninsula in 1898 and recorded the folktales of the Northern Province. Later he published Korean Folktales written in Russian in 1904. Since this was the first publication about Korean folktales, it had a far-reaching effect on the subsequent translations and publications about Korean folktales in Russia and other European countries. This book was also published in German in 1905. When European explorers wrote about Korea in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they often inserted in their writing some excerpts from Garin’s folktales.
    Since then, a lot of attention was paid to Garin’s seminal book about Korean folktales. For instance, Genthe, who visited Korea in 1901, published a travel book containing25 episodes of Korean folktales translated by Kotschubey, all of which were originally introduced by Garin.
    It was in the 20th century that Korean literature was first introduced in the Czech Republic. The first literature rendered in Czech was folktales. Two books of folktales were published in 1932, and all of episodes were retranslated from Garin’s book. Another collection of folktales was published in 1941. The Japanese scholar Vlasta Hiksk retranslated Korean folktales written in Japanese into Czech.
    Contrary to other Russian visitors, Garin had endeavored to understand both Korea and Korean. Although he was not a master of Oral Literature, he tried to transcribe folktales from story tellers verbatim.
    There were 64 episodes of folktales in Garin’s book. Some episodes were variants of the folktales reported in Korean literature. Others turned out to be folktales unreported in Korean literature. Taken together, Garin’s book had certain historical importance in that the text itself came from the story-telling mode popular in the late 19th century.
    Garin did recording for a book with the help of interpreters since he did not know Korean. However, it was easily found that Garin tried to record exactly what story tellers said. Quite often, he described Korean vocabulary and dialects as well as geographical names when they were necessary. Garin’s book was academically useful for research because he did not embellish the story with invented dialogue and extra details.
    Although Garin’s travel sketches and folktales, in part, were introduced a long time ago, his overall writing has not received serious attention in the literature. The Russian text itself could be a stumbling block to starting research. However, the main problem seems to be related to the current trend on Russian literature in Korea.
    Recently, the research area about Russian literature has been expanded, but we still have a long way to go. More precisely, the research on the relation between Russian folklores(especially, oral literature) and Koran counterparts is in order. In order to understand the very real historical and cultural differences between the two countries, it is mandatory to do research from a wider perspective.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콘텐츠는 다양한 주제를 깊이 있게 다루고 있어 지루할 틈이 없습니다. 매번 새로운 인사이트를 제공해 주어 학습이 즐거워지고 있습니다. 학습 후 실제로 과제나 레포트에 활용할 수 있어 매우 만족스럽습니다. 앞으로도 계속해서 이용할 예정입니다!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민속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4월 07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