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행기관 : 대한직업환경의학회
· 수록지 정보 : Annals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 15권 / 2호 / 181 ~ 187페이지
· 저자명 : 김유미, 이수영, 김영진
초록
목적: 유리규산에 의해 유발되는 흰쥐 폐의 병 발생기전과 관련이 있는 세포들의 반응을 추구하기 위하여 이 연구를 행하였다.
방법: 500 μl의 생리식염수에 50 mg의 유리규산(SiO2, 0.15~10 μm)을 부유시켜 체중 200 g 내외의 Sprague-Dawley 희쥐들의 기도내에 주입하여 규폐증을 유발시켰다. 규폐결절을 유리규산 주입 후 4주째에 흰쥐 폐에서 적출하였고, 이 결절들은 2% SDS, 10 M urea, 40 mM DTT를 함유한 용액속에서 4일 동안 110℃로 끓였다. 불용성 세포성 피막들을 4~12 % 농도 기울기로 SDS-PAGE에서 전기영동하였고 또한 아미노산 조성을 분석하였다. 대조군 폐와 규폐결절의 균질액의 상청액과 정상 흰쥐의 혈장을 흰쥐의 규폐결절의 교차결합 단백질에 대한 토끼 항체를 사용하여 친화성 크로마토그라피를 행하였다. 대조군 폐와 규폐결절 내 Nε-(γ-glutamyl) lysine 교차결합의 량은 각각 HPLC 분석법을 사용하여 정량분석하였다.
결과: 교차결합 단백질은 10 M urea와 40 mM sulfhydrgl 시약내에서 오랫동안 끓여도 불용성으로 남아있었다. 피막은 단백질 내 유리규산 입자의 잔여물로서 alanine, leucine 및 glycine의 함량이 높았다. 46 KDa 단백질은 규폐결절 내 교차결합 단백질임을 친화성 크로마토그라피 방법으로 증명하였다. 규폐결절 내 Nε-(γ-glutamyl) lysine dipeptide의 양은 대조군 폐의 량에 비하여 현저하게 증가되었다.
결론: Transglutaminase에 의하여 촉매화된 교차결합은 규폐결절 형성에 관여하며, 46 KDa 단백질은 섬유화와 섬유화로 인한 규폐결절 형성 동안 다른 세포 밖의 마트릭스 단백질 및 그 자체 단백질내의 교차결합물인 것 같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Annals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