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빅데이터의 문화론적 비판: 미셀 푸코의 생정치 개념을 중심으로 (Cultural Critique of Big Data: in the Perspective of Michel Foucault’s ‘Biopolitics’)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2.12 최종저작일 2013.09
39P 미리보기
빅데이터의 문화론적 비판: 미셀 푸코의 생정치 개념을 중심으로
  •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언론학회
    · 수록지 정보 : 커뮤니케이션 이론 / 9권 / 3호 / 166 ~ 204페이지
    · 저자명 : 김예란

    초록

    이 글은 탈근대 디지털 환경에서의 데이터 성격, 통제사회, 생정치의 관점에서 각각 빅데이터의 지식-권력 체계, 주체화의 효과, 인구의 문제를 분석한다. 이 세 영역에서 나타난 현상을 정리하면, 첫째, 지식-권력의 차원에서 빅데이터는 가상 공동체 내지 가상 사회의 구성원들의 모든 것, 그들의 존재와행동을 데이터로 환원한다. 외형적으로 자율적이며 능동적인 디지털 네트워크 이용자들에 대한 새로운 통제 양식으로서, 순수하고 투명한 지식임을 자임하고, 참여자들로 하여금 지식의 공개성과 협력 및 연결성을 강조하면서 자발적 혹은 무의식적으로 산출된 이용자 데이터를 치밀하게 수집, 처리, 활용하는 통치력을 발휘한다. 이 과정에서, 둘째, 주체성의 차원에서 데이터 주체는그들의 시간과 기억이 통제되며, 자신의 비물질 노동 결과 산출된 데이터에대해서도 접근과 활용이 구조적으로 제한받게 된다. 만인의 데이터화, 그럼에도 데이터 주체의 소외, 착취, 포섭이 동시에 작용하는 모순 상황이 곧 빅데이터 현실이다. 셋째, 인구의 집합적인 차원에서 볼 때, 빅데이터 상황에서는 상대적으로 현실의 질서로부터 자유롭게, 일종의 무정부상태에 있었던 가상 공동체 및 가상 사회 구성원들이 거대하고 정교한 자본과 국가의 데이터베이스안에 포섭되고 통치되는 양상이 나타난다. 이 현상은 가상 인구의 탄생을 의미한다. 디지털 인구는 신자유주의적 디지털 자본주의의 경제 질서 안에서,그 지배적 논리에 적합한 기업가적 주체들을 배양한다.

    영어초록

    The current research analyses big data in the respect of knowledge-power, society of controls and biopolitics. Three points are made. Firstly, regarding knowledge-power, big data reduces everything, every human’s existence and act into information.
    Apparently autonomous and free digital users are enclosed into big data knowledge system. Big data is claimed to be transparent and pure knowledge, emphasizing the users’ collective participation and collaboration in the operation of big data. The governance of big data is yet found in its collection, modulation and appropriation of human data. Secondly, the human subject is reduced to free laborer in the social factory. Human time-memory is under control by big data system. Furthermore, access and use of their own data is structurally restrained, leaving the free laborer alienated from big data system. This is the reality of big data in which the exploitation, alienation and appropriation of human data is comprehensively and expansively deployed. Finally, big data invents virtual population, by means of enclosing digital users into a nation ― capital controlled system. In the virtual population, human population is recontructed to homo oeconomicu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커뮤니케이션 이론”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4월 18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59 오후